오피니언

뉴스홈 > 오피니언

사설

+ 더보기

밀물썰물

+ 더보기
대구서 본 간송 문화재

대구서 본 간송 문화재

만금의 재산과 우리 문화재에 대한 열정으로 세워진 간송미술관(옛 보화각)은 바로 간송 전형필(1906~1962) 선생의 문화보국 정신의 구현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최초의 사립 미술관으로 건물 규모 자체는 소박한 편이지만 소장 유물의 수준은 어느 박물관에도 뒤지지 않을 만큼 그 존재 자체가 각별하다.그러나 일반인을 위한 미술관 관람 기회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평상시엔 여간해서 잘 볼 수가 없다. 그러니 미술관이 있는 서울이 아닌 지방의 애호가들에겐 더더욱 그림의 떡이다. 그렇게 이름만 들어왔던 간송미술관의 문화재를 최근 지방에서도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부산과 가까운 대구에 대구간송미술관이 지난달 초 개관하면서 기념으로 국보·보물전을 연 것이다. 전시물도 서울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국보·보물 40건 97점으로 지방에서는 좀처럼 접할 수 없는 문화재로 구성됐다.이 중에서도 가격을 매길 수 없는 ‘무가지보(無價之寶)’, 국보 중의 국보로 불리는 훈민정음해례본과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는 단연 최고의 관심 대상이었다. 관심이 뜨거웠던 만큼 두 문화재는 대구간송미술관 개관전에서도 각각 별도의 공간에 전시됐다. 관람객들은 교과서에서나 볼 수 있었던 값을 따질 수 없는 문화재의 실물을 직접 접한다는 생각에 사뭇 조심스럽고 삼가는 자세가 역력했다. 개관전을 찾은 관람객 대부분의 주목적도 이 두 유물의 친견에 있는 듯했다. 짧은 시간이었음에도 첫 대면의 느낌은 은근하면서도 강렬했다.다만 국보급 유물에 비해 대구간송미술관의 전시 운영은 대체로 실망스러웠다. 전시된 문화재의 훼손을 막으려는 의도는 이해하지만 관람객을 마치 감시 대상으로 여겨 수시로 간섭·통제하려 한 것은 불쾌감을 주기에 충분했다. 지나치게 어두운 조명 때문에 유물을 좀 더 가까이 보려고 다가서면 여지없이 운영 요원의 제지가 끼어들었다. 유물을 보는 중에도 뒷사람을 위해 그만 이동해 달라는 요구에 관람객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찾기는 어려웠다. 유물 설명문도 어두운 데다 글자마저 너무 작아 제대로 볼 수 없었다.대구간송미술관 덕분에 지방에서 보기 어려운 국보급 문화재를 친견하게 된 경험은 잊을 수 없지만 그 반대급부로 관람 과정에서 타박에 가까운 홀대를 느껴야 했다면 과한 언사일까. 더구나 부산에선 그런 기회를 얻지 못하고 대구까지 가야 했던 심정도 씁쓸한 터였음에랴.

부산일보 논설위원

오늘의 칼럼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