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경남

부산닷컴 > 중부경남
“결국 초고령화 사회 진입”  맞춤 정책 갈길 바쁜 창원

“결국 초고령화 사회 진입” 맞춤 정책 갈길 바쁜 창원

경남 창원시가 올해부터 초고령사회로 접어들며 시민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고령자를 위한 맞춤 정책을 마련에 나섰다.9일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창원의 전체 인구 99만 4887명(외국인 제외) 중 19만 9001명, 20%가 65세 이상으로 나타났다. 국제연합(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창원은 2020년 65세 이상 인구가 14.5%를 기록하며 고령사회로 진입한 뒤 해마다 고령자 비율이 1%씩 증가면서 올해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앞서 2023년 제2기 고령친화도시 5개년 실행계획을 수립한 창원시는 초고령사회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대표적인 정책으로 △어르신 교통친화도시 △쾌적한 노후생활 공간, 맞춤형 돌봄서비스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치매 걱정 없는 창원 등이 꼽힌다.먼저 75세 이상 창원 시민은 시내버스를 무료 탑승할 수 있다. 지난해까지 월 8회 한도로 지원했으나 올해부터는 횟수 제한을 없앤 것이다. 70세 이상 운전자의 경우 면허증을 반납하면 10만 원 상당의 지역화폐를 받는다.고령자의 휴식·여가 공간이자 이웃 간 교류 장소인 경로당의 이용 편의도 개선 대상이다. 올해 처음으로 경로당의 ‘복지관화’를 위해 스마트 장비를 도입하기로 했다. 일단 올 연말까지 40곳의 경로당에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해 시범운영에 들어간다.고령자를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 통화로 안부·안전을 확인하고 외출 동행과 식사·청소 관리 등을 돕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독거노인·조손가정·고령부부 등에겐 인공지능(AI) 스피커와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보급하는 인공지능통합돌봄도 실시하고 있다. 응급상황 발생 시 긴급 구조를 받을 수 있는 응급안전안심서비스도 운영 중이다.창원시는 고령자의 일자리와 사회활동 지원을 위해 올해 632억 원을 투입했다. 이를 바탕으로 고령자 일자리 1만 6387개를 마련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전국 기초지자체 중 최대 규모다. 고령자 취업 지원을 위한 ‘시니어인턴십 사업’도 벌이고 있다. 60세 이상 근로자를 고용하는 4대 보험 가입 사업장은 1인당 270만~30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초고령화 시대의 난제인 치매를 예방하고 건강한 노후를 지원하고자 치매통합관리서비스도 추진하고 있다. 창원·마산·진해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서 권역별 치매환자 등록과 1대 1 사례 관리를 통한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 중이다. 창원시는 전문화된 공공 장기 요양 서비스 제공하고자 시립 노인주간보호센터도 짓는다. 내년 하반기께 완공·개원 예정이다.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