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해양

부산닷컴 > 경제해양
청년이 남는 도시? ‘지역 인재-수도권 기업’ 매칭 노력 필요 [지방 소멸 대안, 원격근무]

청년이 남는 도시? ‘지역 인재-수도권 기업’ 매칭 노력 필요 [지방 소멸 대안, 원격근무]

원격근무는 청년 수도권 집중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방 소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가는 대신 수도권 기업의 근무를 지방에서 원격으로 하게 되면, 지역 경제 활성화와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취지다. 하지만 원격근무 장려 정책 대부분이 정주 인구 증가가 아닌 외부 인원의 부산 체류 시간 증가에만 집중하고 있다. 이에 실질적인 인력 생태계 양성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수도권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해 지역 인재의 원격 채용을 유도하는 정책이 오히려 부산 기업에 대한 역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원격근무 활성화 정책이 지지부진한 이유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정주하는 부산 인재들의 업무 경험과 전문성을 향상해야 창업 등 산업 역동성이 활발해질 수 있다고 짚는다.■뉴노멀 된 원격근무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년부터 많은 기업이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 원격근무 방식을 도입했다. 코로나19가 끝난 이후에도 재택과 내근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근무 도입 등 재택근무를 활용한 유연근무제를 시행하는 기업도 늘었다.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 형태별 부가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시작되기 전인 2018년 재택근무 비율은 4.8%에 그쳤지만, 코로나19 시기 급등했다 지난 8월 기준 14%대를 유지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일부 기업이 재택근무를 단계적으로 폐지하자, 2023년에는 수도권의 한 플랫폼 직원들이 대거 퇴사하는 일도 있었다.원격근무 지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업 관계자는 “지금도 일부 기업들은 재택근무를 줄이고 싶어 한다. 하지만 기업의 원격 업무 선호와는 별개로 이미 직원들이 선호하는 업무 형태로 자리 잡아, 기업 입장에서도 생산성 저하를 이유로 무작정 없앨 수만은 없는 제도가 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의 한 플랫폼 개발 회사에 근무하는 임 모(31) 씨는 “연봉이 더 높은 회사로부터 이직을 제안받은 동료가 있었는데, 재택근무를 유지하고 싶어 이를 거절했다. 주변에 흔히 있는 사례”라고 전했다.■지원, 정주보단 체류 시간에 초점기업 상당수가 재택근무를 도입·유지하고 있지만, 지자체들은 ‘정주 인구’의 수도권 채용 연계 대신, ‘타 지역 원격근무자’의 부산 방문에만 집중하고 있는 추세다. ‘워케이션’ 정책이 대표적이다. 일과 휴가의 합성어인 워케이션은 재택근무가 늘어났으니 타지에 머물며 일하는 이들을 붙잡겠다는 취지로 도입됐다.하지만 이 사업은 역외 거주자의 부산 체류 시간을 늘리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부산에서 유출되는 인구를 잡거나, 부산에 사는 인구를 늘리는 방향은 아닌 것이다. 다양한 기업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진행하긴 하지만, 대부분 지원이 숙박과 체험 프로그램으로 이뤄져 있다. 부산 워케이션센터 담당자는 “관광 정책으로 분류되다 보니 담당하는 곳도 관광정책과다”며 “대부분의 정책은 외부 인구의 부산 방문과 체류 시간을 늘리는 데 맞춰져 있다”고 말했다.문제는 워케이션 사업이 부산 유출 인구 감소에는 한계가 분명한 정책이라는 점이다. 워케이션 제도를 운영하는 한 수도권 기업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도 워케이션을 직원들을 위한 특별 휴가 정도로 시행하고 있다”며 “워케이션 경험자들이 부산 정주로까지 이어질지는 의문이다”고 말했다.■지역에 갇힌 취업 연계수도권에서는 원격근무 채용시장이 활짝 열려 있음에도, 부산에서는 부산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한 인재 육성·취업 연계 프로그램이 주를 이룬다. 사실 원격근무 형태로 지역 인재를 채용하도록 수도권 기업을 지원해야 하지만, 이는 부산 기업에는 역차별로 여겨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기업과 근로자 모두에 보조금을 지원해 취업을 유도하는 행정안전부의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지원’ 사업에서도 대상은 지역 기업으로 한정됐다.재택근무 가능성이 높은 IT·SW관련 교육을 지원하는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의 취업 연계 대상 기업도 부산 기업만을 대상으로 한다. 부산시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관계자는 “지역 기업들도 관련 인재들이 필요한 실정에서 수도권 기업을 지원하는 데 대한 형평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한 업계 관계자는 “부산은 인재 양성은 열심히 하고 있지만, 열심히 할수록 손해가 나는 구조다”며 “고급 인재를 키워놔도 갈 기업이 없고, 기업 입장에서 인재가 원하는 급여를 맞춰줄 수 없기 때문이다. 언제까지 지역 기업 눈치만 볼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 2023년부터 작년까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의 ‘기업맞춤형 정보산업 인력 육성 사업’을 수료한 282명 중 40%가 수도권에 취직했다.원격근무 채용 플랫폼을 운영하는 임태은 베러웍스 대표는 “기업은 임금을 올려줄 생각이 없고, 인재는 떠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며 “지역에서 생각을 전환해서 지역 인재들과 수도권 기업을 매칭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기업 입장에서도 지자체의 인센티브를 통해 지역 인재를 채용하고 이에 만족을 느끼게 되면 채용은 계속해서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경제해양 분야 랭킹 뉴스 TOP 10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