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해양

부산닷컴 > 경제해양
“조선·해운 슈퍼 사이클, 해양금융허브 부산 도약의 기회”

“조선·해운 슈퍼 사이클, 해양금융허브 부산 도약의 기회”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조선업 호황, 글로벌 해운사의 부산행 추진 등으로 그 어느 때보다 국제해양금융허브 부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가운데, 부산에서 ‘해양금융허브’ 부산의 밑그림을 그리는 자리가 마련됐다. “부산을 해양금융특구로 지정하자” “민간금융이 정책금융과 협업해 투자 유인을 제공해야 한다” 등 다양한 방안이 나왔다.부산시와 금융감독원, 한국해양진흥공사, 부산국제금융진흥원은 25일 롯데호텔 부산에서 ‘2025 부산 해양·금융 위크’를 개최했다. 행사는 26일까지 이어진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은 해양·금융 위크의 올해 주제는 ‘바다와 자본이 만나는 부산, 글로벌 해양금융 허브로’다.첫날 행사는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직접 개회사를 했으며, 안병길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 이준승 부산시 부시장, 이명호 부산국제금융진흥원장,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 등이 참석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기조연설을 맡았다.이날 환영사에서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이명호 원장은 “부산은 세계적인 해양·항만 인프라와 금융기관 집적을 동시에 갖춘 도시로, 해양산업과 금융이 결합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큰 곳”이라면서 “해수부 부산 이전과 HMM 부산 이전, 동남권투자공사 신설 등 주요 정책들이 추진될 뿐 아니라 마스가 프로젝트, 북극항로, BNK금융그룹의 해양금융 강화 움직임 등 여러 동력들이 더해져 부산이 국가균형발전의 엔진이 되고 있다”고 이번 해양·금융 위크가 가지는 중요성을 설명했다.첫 발표자로 나선 이동해 부산국제금융진흥원 해양금융센터장은 “해운이 지난 팬데믹 기간, 60년간 벌 돈을 2년 동안 다 벌었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로 해운 경기가 좋았다”면서 “마스가 프로젝트는 물론, 세계해사기구(IMO) 규제 개혁 등으로 슈퍼 사이클이 돌아왔다. 부산엔 절호의 기회이고 해양금융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 때”라고 설명했다.이 센터장은 글로벌 해양특화 금융중심지 부산을 위한 육성 전략 8가지도 소개했다. 8가지 전략에는 해양금융특구 안에 선박등록특구를 만드는 방안, 부산 선박투자회사 신설, 원화선박금융 도입 등이 있다.민간금융에 더 큰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한국투자증권 IB본부 우용빈 선박금융팀장은 ‘해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금융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주제 발표에서 “해양산업의 날개를 달아줄 수 있는 민간금융의 역할은 정부 정책금융의 대체제가 아니라 정부 정책금융과 협업해 해양산업의 발전적 금융 파트너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민간금융의 역할은 신속하고 유연한 의사결정을 통해 전문성에 기반한 해양 솔루션 제공하는 것이고 선박디지털증권, 재생에너지 같은 투자 유인을 제공하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해양금융에서 민간금융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었다.한국산업은행 산업기술리서치센터의 김대진 박사는 ‘북극항로 활성화를 위한 금융의 역할’ 주제 발표에서 “러시아는 2036년까지 6억 4000만 달러를, 미국은 쇄빙선 건조와 인프라에 9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고 중국도 수십억 달러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했다.그는 “한국은 국내 항만 개발과 쇄빙선 건조에 3800만 달러 정도 투입을 계획하고 있다. 해양산업은 금융기관 지원 없이는 불가능한 만큼, 의사결정 계획을 세울 때 해양금융기관들과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8명의 발표가 끝난 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부산 특화 금융중심지를 위한 전문가들의 실질적인 조언이 이어졌다.글·사진=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경제해양 분야 랭킹 뉴스 TOP 10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