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뉴스홈 > 오피니언

사설

+ 더보기

밀물썰물

+ 더보기
난공불락 요새 금고

난공불락 요새 금고

한국예탁결제원은 1974년 한국증권거래소 자회사 한국증권대체결제 주식회사로 설립됐다가 1994년 증권예탁원이라는 특수법인으로 전환한 뒤 2009년 현재의 명칭으로 확정됐다. 주식회사들이 장부상으로만 주식을 관리하며 사고 팔 수 있도록 주식 실물을 맡아두는 업무를 하는 기관이다. 이 기관이 없다면 주식 거래자들은 주식 거래 때마다 주주명부 명의 개서를 위해 일일이 실물 주식을 들고 뛰어다녀야 한다.이 기관이 금을 보유하기 시작한 것은 2014년부터다. 한국거래소가 금 현물시장(KRX 금시장)을 그해 3월 개장하면서 거래 대상이 되는 골드바가 예탁결제원에 처음으로 입고됐다. 처음 입고된 분량은 순도 99.99% 1kg들이 골드바 17개. 당시엔 KRX 금시장이 활성화할 경우 하루 평균 최대 7000개의 골드바가 거래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있었다. 7000개에 이르는 골드바를 일일이 인출해서 들고 다니며 거래를 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주식의 경우처럼 예탁결제원에 금 실물을 맡겨두고 장부상 거래를 하도록 한 것이 예탁결제원 보관 금의 시초였던 것이다.예탁결제원이 이처럼 금을 보관할 수 있었던 것은 경기도 일산에 있는 예탁결제원 건물 지하의 금고 덕분이다. 금 보관 이전에는 이 금고에 100조 원이 넘는 가치의 주식과 채권 등 실물 유가증권이 보관돼 있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고 설비 기준을 충족한 국내 첫 번째 금고인 이 금고는 규모와 자동화 설비 기준으로는 스위스 증권예탁기관의 금고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안정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1998년 당시 33억 원이라는 거액을 투입해 만들어진 이 금고는 205평 가량의 넓이에 아파트 3층 높이 정도의 내부 공간이 마련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께가 1m를 넘는 특수문을 비롯해 미세 진동감지기 등 각종 특수장비로 중무장된 이 금고를 두고 예탁결제원은 ‘난공불락의 요새’라 불렀다.이 난공불락의 요새가 최근 금값이 치솟으며 KRX 금시장의 한 달 거래 규모가 4조 원에 육박하자 금 보관량 폭증으로 미어터지기 직전이라는 소식이다. 예탁결제원은 금 보관시설을 서울에 새로 만들려다 부산지역 여론이 악화하자 갈피를 못잡고 오락가락하는 중이다. 예탁결제원은 본사 부산 이전 11년이 지난 이 시점에도 왜 ‘서울 바라기’를 비판하는 지역 여론이 들끓는지를 돌아보고 슬기롭게 새 공간 확보 방안을 찾길 바란다.이상윤 논설위원 nurumi@

부산일보 논설위원

오늘의 칼럼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