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경남

부산닷컴 > 서부경남
하동군, ‘세계중요농업유산’ 섬진강 재첩잡이 보존·관리 한다

하동군, ‘세계중요농업유산’ 섬진강 재첩잡이 보존·관리 한다

경남 하동군이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 보존·계승 방안 마련에 나선다.25일 하동군에 따르면 최근 하동 섬진강 재첩 산업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재첩 산업 발전 종합계획’이 만들어졌다.하동군은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 비전과 단기 실행 과제를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하동·광양 섬진강 하류에서 수백 년간 이어져 온 전통 어업 방식이다.어민들이 직접 섬진강에 들어가 손틀 도구인 ‘거랭이’로 강바닥을 긁어 재첩을 채취한다.강의 생태환경을 크게 훼손하지 않는 전통적·친환경 어업 방식으로 지역의 생활 문화와 노동 방식·축제·요리 문화 등과도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이에 2018년 국가중요어업유산 제7호로 지정됐고, 2023년 국내 어업 분야 최초로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돼 가치를 인정받았다.하지만 정작 재첩잡이는 위기에 직면했다.섬진강 하류로 흐르는 강물의 양이 줄었고 이 자리에 바닷물이 침투하면서 재첩 주 서식지 염도가 상승했다여기에 집중호우 시 댐에서 대규모 방류를 하면 재첩이 쓸려가거나 서식지인 모래톱 환경이 급변하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이 때문에 조업이 어려워지면서 일손을 놓은 어민도 하나, 둘 생겨나고 있다.이에 하동군은 △재첩 채취 전통 유산의 보존 및 전승 △자원 회복 및 생태환경 관리 △문화관광 융복합 △고부가가치 산업화 △유통 구조 혁신 등 5개 축을 바탕으로 ‘재첩 산업 발전 종합계획’을 수립했다.먼저 전통 손틀어업 채취 방법을 지키기 위해 재첩 어업의 기록화, 디지털 아카이빙, 어업인 명인 인증제, 전통어업 전승 학교의 운영 등을 추진한다.또 재첩 산업이 하동의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국가중요어업유산관 하동 유치에도 박차를 가한다.여기에 재첩 자원 회복과 생태환경 관리를 위해 재첩 서식지 실태조사와 보호수면 확대, 산란기 집중 보호, 우량종자 방류 및 이식 등 자원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이와 함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 선별기 도입, 스마트 유통 가공시설 구축 등 미래형 기반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재첩을 주제로 한 생태 체험 관광자원도 개발·확장한다.먹거리와 생태 자원을 넘어 지역 정체성을 담은 핵심 관광 콘텐츠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다.이를 위해 생태 체험 관광프로그램, 재첩 스토리텔링 콘텐츠, 재첩길 및 재첩 축제 등 차별화된 관광 상품을 전면에 내세운다.재첩의 부가가치를 높여 줄 기능성 가공식품, 프리미엄 브랜드 상품 개발과 청년·여성 창업과 R&D 센터 설립 등 산업 육성도 적극 지원한다.하동군 관계자는 “전통 보존은 물론 미래 산업화에 기반한 일자리와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연말까지 분야별 세부 과제를 확정하고 단계별 추진 계획에 따라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