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뉴스홈 > 오피니언

사설

+ 더보기

밀물썰물

+ 더보기
한국 근대 센서스100년

한국 근대 센서스100년

전국적인 인구주택총조사를 뜻하는 센서스(census)는 ‘가치를 매긴다’라는 의미의 라틴어(censere)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5세기 인구조사를 담당했던 로마의 감찰관(censor)에서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다. 한반도에서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가 인구조사를 시행했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신라는 3년에 한 번씩 정교한 인구조사를 실시했다고 전해진다. 이처럼 우리나라 인구조사의 역사는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와 조선으로 이어졌고 호구조사라는 이름으로 계속됐다. 여기서 호(戶)는 집이고, 구(口)는 사람을 뜻한다. 당시 인구조사의 주된 목적은 백성들의 노동력을 징발하기 위한 것이었다.근대적 의미의 인구총조사는 일제강점기인 1925년 10월 이루어진다. 당연히 한반도 수탈을 위한 수단이었다. 이를 근대 센서스의 출발점으로 보는 이유는 ‘영토 내 모든 사람’, ‘일정 시점 기준’ 조사 등 유엔이 정한 원칙을 따랐기 때문이다. 그 이전 인구조사는 노비, 여성, 노인을 제대로 포함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인구총조사는 이때부터 시작됐지만, 주택총조사는 이보다 한참 늦은 1960년 이루어졌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시급한 인구 파악이 필요해지면서 1950년으로 예정됐던 인구조사가 1년 앞당겨 실시된 적도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조사가 확산한 데는 영국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1766~1834)의 영향이 컸다. 그는 1798년 〈인구론〉에서 급속한 인구 증가의 위험성을 경고했고 이후 여러 나라에서 인구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통계청이 센서스 100주년을 맞아 ‘2025년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조사 항목’을 최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가족 돌봄 시간, 결혼 계획, 비혼 동거 등 우리 사회의 변화상을 더 세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새로운 항목들이 포함됐다. 또한 다문화 가구와 외국인을 대상으로는 가정 내 사용 언어와 한국어 말하기 실력은 어떤지 조사할 계획이다. 센서스는 더 이상 권력이 사람을 통제하는 도구가 아니라 사람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를 이해하려는 사회의 손짓이 된 셈이다.이제 농촌은 인구가 줄고, 도시는 1인 가구가 늘어가는 시대가 됐다. 시대가 바뀌었으니 조사의 시선이 바뀌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국민의 삶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얼마나 사는가’보다 ‘어떻게 사는가’를 묻는 것이 더 중요해졌다. 인구와 주택을 헤아린다는 것은 단지 숫자를 세는 일이 아니다. 센서스가 사람의 결, 삶의 결, 그리고 시대의 결을 읽어내는 지문이 되기를 기대한다.

부산일보 논설위원

오늘의 칼럼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