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뉴스홈 > 오피니언

사설

+ 더보기

밀물썰물

+ 더보기
아이유의 '네모의 꿈'

아이유의 '네모의 꿈'

1980년대는 기존 가요 가사를 바꿔 부르는 개사곡이 유행한 시기다.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군사정권이나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몸부림의 일환으로 개사곡은 끝도 없이 생산됐다. 소위 민중가요나 운동가요로 불리는 노래들도 많았지만 아무래도 기존 노래만큼 귀에 쏙쏙 들어오는 대중성은 기대하기 힘들었기 때문이었으리라.개사는 조용필의 〈킬리만자로의 표범〉 속 ‘사랑이란 이별이 보이는 가슴 아픈 정열, 정열의 마지막엔 무엇이 있나’라는 가사를 ‘독재란 종말이 보이는 가슴 아픈 정열…’로 바꿔 부르는 방식이 주를 이뤘다. 그런가 하면 양희은의 〈늙은 군인의 노래〉를 〈늙은 투사의 노래〉로 바꾸는 식으로 나이든 민주 투사의 넋두리를 잔잔하게 전달하기도 했다. 작곡이라는 전문적인 창작의 관문을 통과하지 않아도 누구나 귀에 익은 멜로디에 가슴 속 뜻을 실어 보내는 데 집중한 게 그 시절 개사의 특징이었다.반면 국민 가요 반열에 오른 곡이 세월따라 바뀐 시대 상황에 맞춰 개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1982년 발표된 〈독도는 우리땅〉이다. 일본의 가라오케 주점에까지 수록돼 한국인들이 일본 관광을 하면서도 주점에서 부르는 호기를 부린다는 이 노래는 최초 발표 이후 세 번이나 개사가 이뤄졌다. 1983년 첫 개사 때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2절 독도 주소 부분이 바뀌었고 2001년 두 번째 개사 때는 ‘하와이는 미국땅 대마도는 일본땅’ 부분이 ‘하와이는 미국땅 대마도는 몰라도’로 변경됐다. 가장 많이 개사된 2012년 곡에선 거리 단위가 ‘리’에서 ‘km’로 바뀐 것을 비롯해 평균기온과 강수량 수치, 특산물, 거주민 이름까지 대폭 수정돼 원곡만 아는 이들을 어리둥절하게 했다.최근엔 아이유가 1996년 곡 〈네모의 꿈〉을 리메이크하며 개사를 시도해 주목을 끈다. ‘네모난 테이블에 앉아 네모난 조간신문 본 뒤’라는 가사에서 조간신문을 스마트폰으로 바꾼 것이다. 스마트폰을 보는 이가 점점 많아지는 시대상을 나름 반영하려 한 위트가 엿보인다. 하지만 아이유는 중간 부분 ‘네모난 스피커 위에 놓인 네모난 테이프’ 부분은 원곡 그대로 불렀다. 이에 카세트 테이프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초등학생들이 테이프는 둥근데 왜 네모냐고 묻는 촌극이 벌어졌다. 테이프라고 하면 카세트 테이프를 먼저 떠올리는 아이유도 세월이 감에 따라 국민 여동생에서 국민 이모로 나이가 들어가는 듯하다.이상윤 논설위원 nurumi@

부산일보 논설위원

오늘의 칼럼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