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경남

부산닷컴 > 중부경남
‘경남형 통합돌봄’ 내년 도입…보건·의료와 이웃돌봄 연계

‘경남형 통합돌봄’ 내년 도입…보건·의료와 이웃돌봄 연계

보건·의료와 이웃돌봄이 연계된 ‘경남형 통합돌봄’ 서비스가 내년부터 시행된다.경남도는 16일 도청에서 브리핑을 열어 일상생활 지원·주거 지원·보건의료·이웃돌봄을 중심으로 경남도민 일상을 뒷받침하는 ‘경남형 통합돌봄’ 도입 계획을 밝혔다. 이러한 계획은 보건복지부와 시회보장제도 변경 협의를 완료하고 내년 1월부터 시행된다.경남형 통합돌봄의 핵심 내용은 기존 돌봄서비스와 연계하면서 사고·질병 등 상황에 필요한 ‘긴급돌봄’, 돌봄서비스를 보완하는 ‘틈새돌봄’, 야간·휴일 등 돌봄 공백에 대한 대비 등이다. 틈새돌봄, 이웃돌봄은 내년부터 선보이는 새로운 돌봄 서비스다.경남도내 18개 시군은 내년부터 가사 지원·방문 목욕·식사 지원·외출·관내외 동행지원·대청소 등 9개 틈새돌봄 기본 서비스에 지역 상황에 맞춰 방문진료 등 특화 돌봄 서비스를 1개 이상 운영한다.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등이 함께 병원을 방문하는 관내외 동행지원 서비스는 광역시도 중 경남도가 처음 시행하는 제도다.경남도는 올해 몇몇 시군만 제공했고, 그마저도 시군 안에서만 가능했던 이 서비스를 내년부터 경남 전역, 인근 광역권까지 확대한다.예를 들면, 밀양시에 사는 노인이 혼자 병원에 가지 못할 때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등이 밀양시내 병원은 물론, 창원·부산·대구·울산 등 가까운 대도시 병원까지 동행해 병원 접수·진료·수납·처방약 구매·귀가까지 지원한다.경남도는 또 마을별 민간 돌봄활동가를 육성하고, 우수마을을 선정하는 형태로 야간·휴일 등 돌봄 공백을 보완하는 이웃돌봄을 추진한다.지자체가 교통비 지급, 상해보험 의무가입 등을 지원하는 이들은 돌봄이 필요한 이웃을 찾아 시군에 의뢰하면서 말벗·안부 전화 등으로 정서 안정을 돕고 전기·가스 확인, 형광등 교체 등 일상생활을 돕는다.올해부터 2027년까지 3년간 경남도가 육성한 돌봄활동가 5000명이 305개 읍면동에서 활동한다.경남도는 이웃돌봄 우수마을을 매년 30개씩 선정해 1년에 마을당 300만 원씩, 2년간 지원해 이웃돌봄 공동체를 확산한다. 경남도는 기존 돌봄서비스에 틈새돌봄, 이웃돌봄을 보강하는 형태여서 국비 지원분을 포함하면 경남도와 시군의 추가 예산부담액이 174억 원 정도라고 설명했다.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통합복지플랫폼은 경남형 통합돌봄을 뒷받침한다. 경남도는 복지서비스 소개·안내, 신청 등을 제공하는 포털서비스, 문자·음성으로 자신에게 맞는 복지서비스를 한 번에 요약해서 알려주는 생성형 AI 기반 상담을 갖춘 통합복지플랫폼을 구축한다.경남도는 14억 원을 들여 내년 4월까지 통합복지플랫폼을 구축하고, 6월께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방침이다.‘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