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죽이던 시민들 두 팔 번쩍 “민주주의 지켜냈다” [윤 대통령 파면]
광장 메운 시민들 표정
헌재 선고 순간 일제히 환호성
“법치 살아 있음 증명돼 다행”
부산도 시내 곳곳 환영 분위기
탄핵 반대 참가들은 망연자실
오열·울분… 일부 폭력 행위도
시민들은 광장에서, 일상에서 역사의 한 페이지가 될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을 지켜봤다. 헌법재판소가 파면을 선고하자 광장엔 시민들의 환호성과 눈물, 탄식이 뒤섞였고 노랫소리와 구호도 이어졌다.
4일 오전 11시 22분, 헌법재판소 앞에서 대형 스크린으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지켜보던 시민들은 ‘파면한다’라는 주문이 선고되는 순간 일제히 환호성을 내질렀다. 감격한 시민들은 그 자리에서 그대로 주저앉았기도 했다. 탄핵 찬성 집회에 주로 사용됐던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가 울려퍼지자 기쁨에 못 이겨 춤을 추는 이들도 있었다.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등은 탄핵 인용 직후 광화문 서십자각까지 태극기를 들고 행진했다. 촛불행동은 이날 한남동 앞 집회를 끝내고 오후 7시부터 서울시청에서 ‘촛불 콘서트’를 열고 기쁨을 나눴다.
반면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했던 이들은 망연자실했다. 한남동 관저 앞 탄핵 반대 집회 참가자들은 침통한 분위기 속에 실망감을 보이며 자리를 떴다. 전광훈 목사가 주축인 자유통일당 등은 이날 오후 4시까지 집회를 이어갔다. 경찰 비공식 추산 1만 6000명까지 모였던 지지자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발표 약 1시간 만에 절반도 안 되는 7000명으로 줄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헌재 일대에 설치된 바리케이드를 흔들며 오열하고 경찰관을 향해 욕설을 하는 등 격양된 분위기를 이어가다 대부분 해산했다. 헌재 결정에 격분해 곤봉으로 경찰 버스를 부순 남성이 체포되기도 했다. 지지자들이 집결한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는 분신을 시도하겠다는 신고가 들어와 경찰과 소방 당국이 출동했으나 인화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부산 시민들도 이날 탄핵 선고를 숨죽인 채 지켜봤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가 시작된 4일 오전 11시, 부산 사상구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대기실에서는 시민들이 스마트폰 화면에 눈을 고정한 채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 방송을 지켜봤다. 일부 시민은 스마트폰을 귀에 갖다 대거나 이어폰을 끼고 선고 내용을 청취했다.
탄핵 선고 결과가 발표되자 시민들은 탄성을 내뱉거나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스마트폰을 들어올리며 “드디어 끝났다”고 말하는 시민도 눈에 띄었다. 최경수(금정구·45) 씨는 “숨죽이며 지켜봤는데 결국 헌재가 민주주의의 가치를 지켜준 것 같아 참 다행”이라고 말했다. 부산 한 은행에서 근무하는 30대 남성은 “오전 11시부터 모든 직원들이 TV 화면에 집중하고 결과가 나오자 환호성에 박수까지 터져 나왔다”며 “점심시간 동안에도 탄핵을 주제로 한 대화가 끊이지 않았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정 모 씨(사상구·51)는 “그래도 한 나라의 대통령이었는데 이렇게 불명예 퇴진을 하다니 국민 한 명으로서 씁쓸하다”며 “많이 지지했는데, 결국 이렇게 끝나 버려 아쉽다”고 말했다.
시민들은 윤 대통령 파면을 환영하며 광장에 모이기도 했다.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부산비상행동은 4일 오후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서로를 얼싸안으며 이번 소식을 반기거나 보란 듯 “8 대 0”을 여러 번 크게 소리치는 이도 있었다. ‘윤석열 즉각 파면 부산시민대회’에서 ‘빛의 광장 승리의 밤 축하대회’로 이름이 바꾼 집회가 오후 7시 부산진구 서면 동천로 일대에서 열리기도 했다. 부산 지역 시민단체들은 “민주주의가 승리했다”며 저마다 환영 입장을 밝혔다. 한편 윤 대통령 탄핵 선고가 내려진 직후에는 카카오톡이 트래픽 폭증으로 일시적으로 먹통이 됐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