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을 아시아 커피산업 중심지로”… 부산경자청 커피산업 활성화 TF 출범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1일 오후 부산 강서구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대회의실에서 ‘BJFEZ 커피산업 활성화 전략 TF’ 킥오프 회의가 열렸다. 부산경자청 제공 11일 오후 부산 강서구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대회의실에서 ‘BJFEZ 커피산업 활성화 전략 TF’ 킥오프 회의가 열렸다. 부산경자청 제공

국내 최대 커피 수입 거점인 부산이 아시아 커피산업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커피 산업계, 학계, 관련 기관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BJFEZ·부산경자청)은 11일 오후 ‘BJFEZ 커피산업 활성화 전략 TF’ 킥오프 회의를 열었다고 이날 밝혔다. 국내 커피 수입의 94%가 부산항 진해신항을 통해 들어오는데, 부산항이 단순히 수입된 생두가 거쳐 가는 곳이 아니라 이곳에서 커피 제조, 가공, 수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전방위로 지원하기 위해 TF를 꾸렸다.

부산경자청은 커피산업 현장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산업계, 학계, 관련 기관에서 일하는 9명을 TF 위원으로 구성했다. TF 위원으로는 부산경자청 박찬균 부장, 경남연구원 박병주 선임연구위원, 부산테크노파크 이채윤 부장, 영산대 호텔관광대학 오창호 교수, 미쓰이소꼬코리아 권순홍 팀장, (주)LGC 임수정 대표, (주)더셰프 문주호 본부장, (주)쿨스 김승철 전무, 코이아카데미 전하렴 매니저가 위촉됐다.

앞서 지난해 부산경자청은 콜드체인 부분품, 수소, 선박용 기계부품, 로봇부속품과 함께 커피콩을 글로벌 복합물류 활성화 5대 전략품목으로 선정하고 커피산업 관련 기업 유치와 함께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향후 경자청은 커피산업 성장을 위해 그동안 커피산업 성장에 걸림돌이 됐던 규제를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생두 수입·보관·유통 절차 간소화 △생두 수입·보관·유통 절차 간소화 △항만 배후단지 내 커피 제조·가공 기업 입주 지원 △자유무역지역 제품 과세·원료 과세에 대해 보세공장에 준용한 관세법 적용 건의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또 생두 보관과 유통에 필수적인 저온 저장시설과 콜드체인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물류비용 절감을 위해 공동 저장 창고 운영도 검토하기로 했다.

커피산업 종사 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한다. △시장 진출 컨설팅 △수출 활성화 지원 △해외 시장 조사·글로벌 트렌드 분석 등을 지원한다. 또 해외 수출을 위한 해외 마케팅, 판로 개척도 돕는다.

부산경자청 박성호 청장은 “부산항 진해신항이 국내 최대 커피 수입 거점이라는 강점을 활용해 글로벌 커피산업과 연계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