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을 여는 시] 회초리 파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최영철(1956~ )

바다가 종아리를 내리친다

십 리 밖 백 리 밖에서

이 소행 어찌 알았는지

천 리 밖 만 리 밖까지 나가

회초리를 구해 왔다

이놈, 이 몹쓸 놈

이른 새벽 철썩철썩

지구의 따귀를 때린다

오늘은 어제처럼 살지 마라

내일은 오늘처럼 살지 마라

그럼그럼 끄덕끄덕

막 나온 아침 해가 맞장구친다

-시집 〈멸종 미안족〉 (2021) 중에서

일출 보려고 나온 바닷가에서 철썩철썩, 천 리 밖 만 리 밖에서 달려온 소리가 시인에겐 회초리 소리로 들립니다. 오늘을 잘 살고 있느냐고 바다가 묻습니다. 어제보다는 오늘, 오늘보다는 내일 더 바르게 살아야 한다는 전언을 되새겨봅니다. 지나간 어제의 이름도, 기다리고 있는 내일의 이름도 오늘이겠지요. 그런데 파도는 왜 자신의 따귀를 때릴까요. 종아리를 걷고 걸어봅니다. 내가 미처 헤아리지 못했던 잘못을 생각해 낼 때까지 기다려주려고 바다는 저렇게나 멀리 가서 사랑의 매를 구해옵니다. 나밖에 모르는 삶이 부끄러워집니다. 시는 나를 바르게 살게 하는 힘이라던 시인의 말이 자꾸만 밀려옵니다. 신정민 시인

약력: 2003년 부산일보 신춘등단. 시집 〈의자를 두고 내렸다〉 외. 최계락문학상, 지리산문학상 수상. 부산작가회의 회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