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역에 텔레워크 시설만 640여 개… 원격근무 성지 됐다 [지방 소멸 대안, 원격근무]
이주·정주 필요 정보 제공은 기본
공간 지원 넘어 다양한 프로그램
지자체 맞춤 정책만 400개 달해
2014년부터 본격 원격근무 활성화 정책을 시행해 온 일본은 전역에 640여 개의 원격근무 시설을 두는 등, 어디서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19일 일본 내각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원격근무 활성화와 관련된 지자체 정책은 400여 개에 이른다. 각 지자체는 원격근무자들이 함께 일할 수 있는 사무실과 원격근무자들이 현지 혹은 타 지역의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공간 등 640여 개의 원격근무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 지자체들은 기본적으로 해당 지역의 이주와 정주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상담 서비스도 제공한다. 기업이 지사를 지역에 설립하면 세금 혜택 등이 제공되며, 지역에 따라서는 채용 지원금도 받을 수 있다.
단순히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지역의 특성 맞는 다양한 채용·교육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IT 관련 산업이 부족한 이시카와현의 가나자와시에서는 소프트웨어산업, 정보서비스업 등의 업종이 지역에 지사를 설치할 경우 토지와 건물 취득비를 면제하고, 1명을 채용할 때마다 20만 엔을 지원하는 ‘가나자와시 디지털 관련 기업 입지 조성금’ 등의 사업을 진행했다.
나가노현의 다테시나쵸는 텔레워크 센터를 운영해 센터에 등록된 인재들을 기업들과 매칭시켜주는 사업을 운영한다. 특히, ‘사회복지형 텔레워크’ 를 강조하는데, 등록된 워커는 지자체가 발굴한 지역 공헌 사업 등에서 근무할 수 있다. 이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은 원격근무로 지역 인재를 채용함과 동시에,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는 셈이다. 또한 기업 측에서 센터로 의뢰가 들어오면 등록된 워커와 연결시켜 주기도 한다.
후지시는 특히 지역 원격근로자와 기업들 간 네트워킹 기회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 후지시는 2022년도부터 월 1회 이상 지역과 수도권 기업이 참가하는 ‘비즈니스 교류회’를 운영했다. 기업과 소통을 통해 후지시는 원격근무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부분을 반영하는 등 꾸준한 소통을 이어오고 있다.
여성의 취업률이 전국 평균보다 낮은 오카자키시에서는 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목표로 여성 원격근무자들의 채용을 지원(포스터)한다. 오카자키시는 중간 사업자와 계약해, 사업자가 발굴한 일자리를 원격근무 형식으로 여성들이 맡게 돕는다. 채용 지원뿐 아니라 근무 중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돌봄 시설을 지원하고, 해당 업무에 맞는 교육도 함께 진행한다. 도쿄(일본)=박혜랑 기자 rang@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