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시민통합위원회 "지금은 아이디어 정책 발굴중"
2기 시민통합위 1년 동안 120건 제안
53건 정책 권고, 이 중 27건 시정 반영
시정 반영된 제안들 시민 호평 잇달아
경남 양산시정의 주요 시책이나 현안에 대한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공공정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민원·분쟁을 조정하는 2기 양산시시민통합위원회(시민통합위)가 1년 동안 120건을 제안해 이 중 50여 건이 정책 권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양산시는 지난해 10월 출범한 2기 시민통합위가 1년 동안 120건의 제안을 발굴해 53건이 정책 권고됐고, 이 중 27건이 시정에 반영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로써 2023년 10월 출범한 시민통합위 1·2기가 발굴한 제안은 317건에 달한다. 이 중 210건이 정책 권고됐고, 99건이 시정에 반영됐다.
실제 시민통합위가 제안해 시정에 반영된 ‘양산시 스템프 투어나 보행자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정지선 이격 거리 확대’를 비롯해 ‘지역 특산품 육성 제안’, ‘ 골목상권 활성화’, ‘민원실 AI 외국어 통·번역기 운영’ 등이 호응을 얻고 있다.
시민통합위의 제안이 양산시 정책이나 시정에 반영되는 비율이 높은 것은 위원들의 폭넓은 연령층과 다양한 직업군의 시민과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통합위의 다양성과 전문성에 상당한 도움이 되고 있다.
시민통합위는 전문가 40%와 시민 60%로 구성됐다. 시민은 분과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도시개발분과의 경우 공인중개사, 건축사, 녹색어머니회, 주부 민방위 대원, 교수 등 다양한 직업군으로 구성돼 있다.
또 위원들이 회의실에만 머물지 않고 제안의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회의장 외에 분과별 소모임과 현장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것도 한몫했다. 이는 시민 목소리가 단순 건의가 아닌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반이 된 것으로 보인다.
통합위 도시개발과 김대부 공모 위원은 “길을 다니면서 주민들에게 ‘불편한 것이 없는지 여쭤보고 스스로 의제를, 안건을 발굴한다”며 “생활 속에 불편한 점이나 필요성을 직접 느낀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것을 의제로 제안할 때 그것이 시민들의 요구이고,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박원현 2기 시민통합위 위원장은 “시민통합위는 ‘시민 제안이 정책이 되는 도시’, ‘시민이 시정을 함께하는 만드는 양산’을 향해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며 “집행부인 양산시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사전 협의와 조율을 끌어내 행정적 부담을 줄이는 데도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나동연 양산시장도 “시민통합위의 제안과 통찰은 행정이 놓치기 쉬운 부분을 채워주는 소중한 나침반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시정 발전을 위한 제안과 협력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2기 시민통합위는 지난 21일 오후 물금읍 양산라피에스타에서 정기 회의를 열어 주요 활동과 성과를 발표하고 공유했다. 이날 정기회의에는 박원현 위원장을 비롯해 각 분과 위원 100명, 나동연 양산시장, 곽종포 양산시의회 의장과 시의원 등이 참석했다.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