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늪에 빠진 농협 상호금융…공동대출 연체율 20% 육박
상업시설 담보 연체율 28%…토지 담보는 23%
동일인 대출 규제 피해 ‘공동대출’로 부실 키워
송옥주 의원 "농협중앙회 부실 방치 여부 따질 것"
최근 지역 농협 공동대출 연체율이 20% 육박하고 있고, 담보물에 따라 최고 30% 가까이 치솟은 것으로 확인됐다. 개별 농협이 동일인 대출 한도 50억 원 규제를 피해 기획 부동산을 방불케 하는 대주단을 구성, 수백억원대 대출을 무리하게 내줬다가 심각한 부실을 떠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이 농협중앙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농협 상호금융의 공동대출 연체율은 19.23%로 집계됐다.
공동대출 연체율은 2021년 1.25%, 2022년 1.88% 등으로 유지되다 2023년 7.41%, 2024년 13.62% 등으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이 가운데 상업시설 담보 공동대출 연체율은 지난 8월 말 28.43%에 달했다. 2021년 1.31%, 2022년 2.94%, 2023년 12.39%, 2024년 20.78% 등으로 급등했다. 토지 담보 공동대출 연체율 역시 2021년 불과 0.73%에 그쳤으나, 2022년 1.02%, 2023년 5.53%, 2024년 14.49%에 이어 올해 8월 말 23.47%로 비슷한 급등세를 보였다.
이처럼 금융기관 담보 대출의 4분의 1가량이 대거 연체되는 경우는 경제위기 때가 아니고서는 전례를 찾기 어렵다.
개별 농협은 동일인 대출 제한으로 50억 원 이상 대출을 하지 못하는데, 여러 농협이 모여 대주단을 구성하고 수백억 원대에 달하는 자금을 조성해 공동대출 형태로 취급하다가 부실을 키웠다는 게 송 의원 지적이다. 농협중앙회를 통한 자금 운용 수익률이 연 1.0∼1.5%에 그치다 보니, 최소 연 4∼5%의 수익을 노리고 공격적인 공동대출에 나섰다가 부실 채권을 쌓고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 담보 대출 부실화 등의 영향으로 농협 상호금융 전체 여신 건전성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올해 8월 말 기준 농협 상호금융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7.63%로 집계됐다. 2021년 1.32%, 2022년 1.80%, 2023년 4.14%, 2024년 6.14%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농협 상호금융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2021년 0.64%, 2023년 1.38%, 2024년 1.69%, 올해 8월 말 2.10%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한 것과 대조된다.
기업대출 연체율 급등의 영향으로 농협 상호금융의 전체 대출 연체율은 2021년 0.88%, 2023년 2.74%, 2024년 4.03%, 올해 8월 말 5.07%로 뛰었다. 이는 NH농협은행의 올해 8월 말 가계대출 연체율이 0.42%, 기업대출 연체율이 0.64%, 전체 대출 연체율이 0.54%에 그친 것을 고려할 때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농협 안팎에서는 회원 농협들의 부동산 담보 대출 부실화의 후유증이 2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을 방증하듯 송 의원이 최근 전국 112개 회원농협 전문경영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과반인 55%가 부동산 담보 대출 부실이 조합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매우 크다'고 답했다. 영향이 '크다'는 응답은 27%, '어느 정도 있다'는 14%였으며, '작다'와 '매우 작다'는 각 2%로 미미했다.
송 의원은 "농협 상호금융의 부동산 담보 대출 부실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확대되면서 수조원에 달하는 자산을 매각하고 있지만 당분간 나아지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지역 농협이 이렇게 망가질 동안 금융 기법이나 전문성 면에서 앞서 있는 중앙회가 제 역할을 하지 않고 부실을 방치하고 오히려 부채질하지 않았는지 이번 국정감사에서 따져 보겠다"고 밝혔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