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이달 중 최종 판가름
환경부, 지정위원회 심의 예정
통과 땐 국내 첫 ‘도심 국립공원’
산림청 등 심의서 타당성 인정
20년 논의 끝에 연내 지정 유력
속보=부산의 오랜 숙원인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지난달 산림청과 국토부 심의를 모두 통과(부산일보 9월 11일자 6면 보도)하며 타당성을 인정받은 데 이어, 최종 관문으로 이달 중 열리는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앞두고 있다. 이를 통과하면 국내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이 탄생한다.
9일 부산시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달 중 국립공원위원회(지정위원회) 심의를 열고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안건을 심의한다. 심의에서는 국립공원 지정의 최종 적정성이 판가름난다. 이를 통과하면 대국민 고시를 거쳐 국립공원 지정이 확정된다.
앞서 지난달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안건은 산림청 중앙산지관리위원회와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했다. 이는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위한 생태적·도시계획적 타당성을 이미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이달 열리는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는 정책적 필요성과 행정·재정적 실행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따지는 최종 절차로, 사실상 정책적 결단만을 남겨둔 마지막 관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국가 예산이 투입돼 탐방로와 안전·편의시설 확충, 생태복원 사업 등이 추진되면서 지자체 관리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경제적 파급 효과도 기대된다. 도심과 맞닿아 있어 접근성이 뛰어난 금정산의 입지 특성상 내·외국인 관광객 유입이 늘어나고, 숙박·음식·교통·문화 서비스 소비 확대가 지역 상권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산이 ‘국립공원 도시’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얻게 되면서 국제적 위상 제고는 물론 기업·관광 인프라 투자 유치에 힘이 실릴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논의는 지난 20년간 이어졌다. 2006년 부산 시민사회가 필요성을 처음 공론화했다. 2014년에는 부산 시민과 환경단체 등 10만 명이 참여한 서명이 부산시에 제출되면서 지정 촉구 여론이 확산됐다. 부산시는 2019년 환경부에 국립공원 지정을 공식 요청했지만, 금정산 부지의 대부분(87%)이 사유지인 데다 지정 기준 중 하나인 면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좌초됐다. 그러나 지난해 양산시가 지정에 협조적으로 돌아서고, 인접한 백양산을 포함해 면적 문제가 해결되면서 국립공원 지정에 탄력이 붙었다.
부산시와 금정구청에 따르면 환경부는 국립공원 지정에 앞서 이달 중 금정산 인근 지역을 방문해 주민 의견 청취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현장에는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환경부, 부산시·금정구 관계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방문은 이달 중 열릴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앞둔 최종 현장 점검 성격이다.
부산시는 올해 안으로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이 유력할 것으로 전망한다. 시 공원도시과 관계자는 “올해 지정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국립공원 지정이 확정되면 금정산은 부산을 대표하는 생태·관광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