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시설은 지하로, 상부는 공원으로 시민 품 복귀
수영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
1988년 가동… 46년 만에 변신
지하서 2차 처리 후 굴뚝 배출
‘고질병’ 악취 문제도 해결 전망
상부엔 복합문화공간·전망 카페
손익공유형 민간투자사업 방식
요금 인상·고용승계 과제 남아
부산 온천천과 수영강이 만나는 강변 모퉁이 4만 5000평을 꿰찬 이곳. 88올림픽 개막 5개월 전부터 가동된 수영하수처리장 일대가 악취를 풍기던 땅에서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다. 최근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를 통과하며 현대화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고, 2034년엔 시설 지하화가 완료된다.
시설 지하화로 악취 문제가 해결되고, 상부엔 공원이 조성돼 시민 접근성이 대폭 높아질 전망이다. 민간 운영에 따른 요금 인상 우려와 인력 고용승계 등 과제도 남아있다.
부산시는 지난 7일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를 통과한 부산 수영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과 관련해, 이달 중 부산시의회 동의 안건을 상정하고 제3자 제안 공모에 나설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시는 민간사업자로부터 건설·운영계획안을 받고, 제안 중 시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고 기술력이 우수한 사업자를 우선협상자로 선정할 계획이다. 내년 중 민간사업자와 실시협약 체결과 승인 등을 마치고, 착공까지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화 사업이 계획대로 내년 착공한다면 8년 뒤인 2034년 준공하게 된다. 이 계획이 실현되면 수영하수처리장 일대는 1988년 이후 46년 만에 시민 품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지상에 노출된 하수처리시설을 지하화하고 그 상부는 공원으로 조성하는 게 핵심인데, 시는 하수처리시설을 지하화한 뒤 남는 상부 유휴 공간에 잔디 광장, 어린이 야외 복합문화공간, 전망 카페 등을 검토하고 있다. 구체적인 시설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이후 설계 과정에서 확정될 전망이다.
고질병으로 꼽혔던 악취 문제도 해결될 전망이다. 하수처리시설 자체가 지하로 들어가는 데다, 새 시설에서는 이중 포집과 2차 처리 등 공정을 거친 뒤 30m 높이 굴뚝을 통해 대기권으로 배출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부산시 공공하수인프라과 관계자는 “제3자 제안 공고에 민간사업자가 악취 모델링을 통해 영향권을 분석하고 대책을 수립하게 지시한 상태인 만큼, 사업자는 더 나은 개선안을 수립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화 사업은 시설 건설과 운영에 필요한 최소 사업 운영비만큼 주무 관청이 보전하고, 초과 이익이 나면 민간사업자와 공유하는 ‘손익공유형 민간투자사업(BTO-a)’ 방식으로 추진된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실시협약을 체결한 민간사업자는 수영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 공사를 진행하고, 이후 30년간 시설 운영권을 갖게 된다.
민간 운영에 따른 요금 인상과 고용승계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는데, 이는 실시협약 등 과정에서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았다.
시 관계자는 “자연 퇴직자를 제외한 나머지 인력은 고용승계를 하는 방향으로 노조와 협의 중이며, 우선협상자가 선정된 이후 시는 중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단순 하수처리장 현대화가 곧장 요금 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고, 인상이 필요하더라도 시 물가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