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기약 없는 완공·불어난 사업비… ‘덫’에 걸린 북항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단계 사업비 7000억이나 급증
기관 미참여로 계획 수립 빨간불
1단계도 공공 콘텐츠 등 차질
‘2027년 사업 기한’ 연장 불가피

2단계 재개발구역 크레인 철거 작업 모습.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 제공 2단계 재개발구역 크레인 철거 작업 모습.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 제공

정부 국정과제인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북극항로 개척 등과 맞물려 부산항 북항이 해양수도 부산의 중심으로 급부상했지만, 정작 북항 대개조 사업인 북항 1·2단계 항만 재개발사업이 나란히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사업기간 연장, 사업비 증가에 따른 투자유치 실적 부진 등의 현상 때문이다. 북항 재개발사업이 차질을 빚게 되면 해양수도 부산의 핵심 거점 확보도 차질이 우려된다.

15일 〈부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부산항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은 2022년 10월 2단계 예비타당성조사(예타) 이후 사업비가 약 7000억 원 증가한 탓에 사업계획 수립이 지연되고 있다.

해수부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이하 추진단)은 “북항 2단계는 예타 이후 철도 구역 토지오염정화비, 보상비 등 비용 추가와 더불어 물가상승, 철도·트램 등 단가 현실화 등으로 총사업비가 예타 대비 약 7000억 원 증가해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며 “올해 1월 사업계획 수립 용역을 재개했으나 수익성 지수 하락에 따른 (부산시컨소시엄) 잔여 기관 참여 미결정으로 사업계획 수립이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 총사업비는 2022년 예타 당시 4조 636억 원이었으나 최근 4조 7600억 원까지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2023년 8월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 사업시행자로 지정된 부산시컨소시엄(부산시·부산항만공사)은 부산시가 대표사로, 부산항만공사(BPA) 지분이 45%다. 하지만 한국토지주택공사(LH, 40%)·부산도시공사(BMC, 11.7%)·코레일(한국철도공사, 3.3%) 등 나머지 지분 55%를 확보해야 하는 기관들은 수익성 등을 이유로 참여를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부산시컨소시엄은 올해 하반기에 사업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 내년 하반기에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2027년 하반기에 실시계획 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다.

여기에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 역시 전체 공정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사업 기간 연장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총사업비 2조 9929억 원 규모의 1단계 사업은 당초 2027년 사업 종료를 앞두고 있었지만 상당수 사업이 진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곳 역시 사업 기간이 연장되면 총공사비 증가에 따른 투자 유치 차질이 우려된다.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과 관련, 추진단은 “현재 BPA에서 추진 중인 ‘공공 콘텐츠 개발 및 활용 방안 수립 용역’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필요시 사업 기간 연장을 검토할 계획”이라며 “사업별 여건을 충분히 반영해 무리한 추진보다는 안정과 품질 확보, 재개발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시 사업 기간을 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 사업 계획(13차) 상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은 부지조성 사업은 1-3단계, 1-4단계가 진행되고 있다. 도로 및 항만시설, 공원 등 기반시설 사업은 2023년 3월 부분 준공했지만 잔여 기반시설인 문화공원(5호·6호)과 보도교#1, 마리나 방파제 등은 사업 종료 기한인 2027년까지 완공 여부가 불투명하다. 상부 시설 사업으로 항만친수시설 공연장, 지하 주차장, 마리나 등이 추진 중이지만 공사 일정이 빠듯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항만업계는 1단계도 사업 기한인 2027년보다 최소 2~3년 연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