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눈] 기후환경에너지부의 과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AI 확산과 데이터센터 증설로 전력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께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가 약 945TWh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에너지 담론 역시 재생에너지와 원전에 맞춰 전력에 집중돼 있다. 전력은 점검하되, 해법은 에너지의 숲에서 찾아야 할 때다.

에너지 전환은 전력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 최종에너지에서 전기의 비중은 약 21%, 한국은 약 26%에 머문다. 이는 수송 연료, 산업용 열, 석유화학 원료 등 비전력 부문의 비중이 여전히 크다는 점을 뜻한다. 화석연료의 퇴장도 현실적이지 않다. 전환 속도는 빨라지고 있으나, AI 확산과 데이터센터 증설이 전력 수요를 끌어올리면서 향후 일부 지역에서 전력 확보와 계통 접속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한 모든 부문이 전기로 대체되는 것도 아니며, 비전력 부문의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런 현실에서 화석연료의 98%를 해외 수입에 의존할 만큼 에너지 안보에 취약한 우리는 더욱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한국은 국제 유가 급등이나 지정학적 충격이 곧바로 경제와 민생을 흔드는 구조다. 이에 에너지 정책에는 기후 대응뿐 아니라 안정적 공급과 국가 안보라는 관점이 반드시 담겨야 한다.

해법은 종합적인 에너지 전략의 설계다. 전력 부문의 재생에너지 보급과 원전 활용을 일관되게 추진하되, 비전력 부문의 수요를 인정하고 재평가해야 한다.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저탄소 수소, 에너지 효율과 같은 수단에 대한 투자도 필요하다. AI·데이터 경제가 이끄는 전력 수요 증가가 지금의 과제인 만큼, 이달 출범한 기후환경에너지부는 전력 탈탄소화의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비전력 부문의 수요를 인정하고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숲의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

구태훈·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석사과정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