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시민 정책 수요와 행정 간극 줄이는 데 큰 역할 할 것” 김태효 부산시의회 의원
시·시의회·교육청 정책협 초대 대표
4급 보좌관 출신 의회 정책통 꼽혀
시·교육청 사업들, 공유·조정 기능
시민들과 직접 소통에도 나설 계획
“시민들이 바라는 정책과 부산시, 부산시교육청이 하고자 하는 정책들의 간극을 줄이는 데 정책협의회가 큰 역할을 하겠습니다.”
지난달 1일 부산시, 부산시의회, 부산교육청 간 처음으로 구성한 정책협의회의 초대 대표를 맡은 부산시의회 김태효(해운대3) 의원은 막중한 무게감에도 담담한 목소리로 이같이 전했다. 부산시의회 내 정책통으로 꼽히는 만큼 ‘일 잘하는 9대 부산시의회’ 기조에 발맞추고 있는 그의 비장한 각오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출범 한 달여를 맞은 3개 기관의 정책협의회는 국회 원내 정당들이 당과 정부 간의 정책 협의·조정 역할을 위해 두고 있는 정책위원회에서 착안됐다. 김 의원을 비롯한 부산시의원들은 부산시와 부산교육청의 불통 문제로 정책 기능이 약화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정책 협의·조정의 주체를 정당-정부에서 이들 기관으로 바꿔 적용했다. 김 의원은 “시, 교육청의 주요 사업이나 정책 방향을 언론을 통해서 사후에 접하게 되는 경우라든지, 시의 조직개편으로 인한 의회 상임위 소관사항의 혼란이 발생한다든지 하는 사례가 있었다”면서 “그간의 경직된 형식을 벗어나 좀 더 허심탄회하게 의회와 집행부의 입장을 공유하고 합의점을 도출해 협업을 강화해 나가자는 차원에서 협의회를 출범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책협의회 발족 직후가 대통령 선거 기간이었지만 김 의원을 비롯한 구성원들은 유세와 동시에 협의회 역할을 병행하며 숨가쁜 나날을 보냈다. 김 의원은 “지난 5월 1일에 출범식을 가진 후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며 “이 자리에서는 대선 부산 공약, 시교육감 정책 추진 방향, 시·교육청 추경 방향, 9대 시의회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 목록 등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 자리에서 여러 가지 좋은 의견들이 많이 나왔고 정책협의회는 3개 기관이 동등한 입장에서 소통이 필요하고 시·교육청 추진 사업들을 미리 공유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초선 시의원임에도 김 의원이 첫 출범하는 협의회의 대표를 맡게 된 것은 국회 4급 보좌관과 부산시청 과장 출신이라는 점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국회에서 입법과 정책 분야에 대해 전문성을 키워온 그이다. ‘정책 분야 베테랑’인 김 의원은 이번 협의회의 역할을 3개 기관 내에만 한정하지 않았다. 시민과도 직접 소통에 나서겠다는 게 그의 구상이다. 김 의원은 “정책협의회가 소통과 협업을 모토로 출범한 만큼 시나 교육청 같은 집행부와의 소통에 머물지 않고, 시민과의 직접 소통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자 한다”며 “말 그대로 민의의 전당으로서 의회가 현장에서 직접 시민들의 목소리를 담아와 정책으로 개발하고 집행부에 전달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지하철역, 번화가 등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민원을 듣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정책협의회 대표를 맡고 있는 그의 최종 목표는 시, 시의회, 시교육청 간 불완전했던 협업 구조를 완벽히 개선해 정책 추진 시 소통의 공백을 빈틈없이 메워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시민 중심의 정책 추진을 협의회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있는 그는 “시의회는 기관들보다 시민들의 삶에 더 밀접하게 연관이 돼 있다”며 “따라서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현실 여건을 반영한 정책 제안과 이를 통해 시정의 실효성을 높이겠다”고 다짐했다.
사진=정대현 기자 jhyun@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