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사회 총력 지원 기업 성장 돕고 부산 경제 살린다
부산 5개 기관 '부산 기업 살리기' 시동
지속 가능성 담보하는 환경 조성하기를
아이 하나를 키우는 데 온 마을이 나서야 한다는 마음으로 시작된 부산지역 5개 기관의 ‘부산 기업 살리기’ 프로젝트가 마침내 닻을 올리고 힘찬 항해를 시작했다. 부산시, 부산시의회, 부산상공회의소, BNK부산은행, 부산일보 등 5개 기관이 지난달 7일 공동선언을 한 이후 첫 지원대상 기업을 선정하고 행보에 나섰기 때문이다. 해당 기업에 대해서 5개 기관은 행정, 입법, 네트워크, 자금, 홍보, 컨설팅 등 사실상 ‘풀패키지’ 지원을 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어 어느 기업이 첫 지원대상이 될지부터가 주목을 끌었다. 이들 기관은 첫 지원대상 기업으로 부산지역 대표적 신발업체인 트렉스타를 선정하고 지원에 팔을 걷고 나섰다.
부산을 대표하는 토종 브랜드 트렉스타는 올해 초 운영자금 부족으로 위기에 몰렸다. 유동성 부족은 직원 140여 명의 임금 6억 원 체불로까지 이어지기도 했다. 트렉스타를 첫 지원대상으로 선정한 5개 기관은 지원을 위한 첫 단추로 트렉스타의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 시장 포지셔닝, 재무환경, 외부환경 등 다섯 가지 측면에서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기 등을 꼼꼼히 분석했다. 부산상공회의소와 부산일보가 공동으로 분석한 결과 트렉스타는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온 기술력에 최대 강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으나 중장년층 위주 시장 포지셔닝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럽 수출 급감이 초래한 유동성 악화가 약점으로 꼽혔다.
5개 기관은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트렉스타에 대한 맞춤형 지원에 시동을 걸었다. 내수 시장과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가 충분하다는 판단 하에 기관별 구체적 지원책을 조만간 마련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BNK부산은행은 노사공동기금을 이용해 트렉스타 상품 구매에 나섰고 이 같은 선의는 로컬 브랜드의 중요성을 공감한 경북 문경시청 등의 참여로도 이어졌다. 부산시와 부산시의회도 신발 기념품 선결제 운동, 지인 선물하기, 임직원 복지용품 신발 제공 등으로 뜻을 보탰다. 이 같은 움직임만으로도 상당한 재고 물량 판매가 이뤄져 트렉스타의 재기 의지에 불을 지피기에 충분했다는 후문이다.
부산의 5개 기관이 이제 막 시작한 ‘부산 기업 살리기’ 프로젝트는 부산과 기업이 함께 성장하기 위한 고민의 서막에 불과하다. 트럼프가 촉발한 관세전쟁의 높은 파고 속에서 조각배 신세로 전락한 부산지역 기업을 살리는 것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야만 가능한 일이다. 부산지역 기업의 어려움은 어쩌면 지역 산업이 갖고 있는 구조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지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비즈니스 환경 조성에 더 힘을 쏟아야 할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이번 프로젝트는 5개 기관만의 문제가 아니라 부산의 총력을 끌어 모아야 하는 문제인 것이다. 부산시민들의 애정어린 관심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