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남한산성' 속 1636년 병자호란은 어떤 모습일까
영화 '남한산성'이 그리는 병자호란은 어떤 모습일까.
5일 배급사 CJ 엔터테인먼트는 철저한 고증을 통해 완성된 '남한산성' 제작 과정을 공개했다.
영화는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나아갈 곳도 물러설 곳도 없는 고립무원의 남한산성 속 조선의 운명이 걸린 47일간의 이야기를 그린다.
제작진에 따르면 '남한산성'은 철저한 자료 조사와 답사를 통해 완성됐다. 실존 인물부터 공간적 배경까지 역사적 사실을 리얼하게 담아냈다는 설명이다.
먼저 영화의 주요 캐릭터들은 역사적 인물을 바탕으로 재탄생됐다. 조선의 16대 왕 '인조'부터 청과의 화친을 도모한 이조판서 '최명길', 끝까지 청에 결사항전을 주장한 예조판서 '김상헌', 남한산성의 성곽을 지킨 무관 수어사 '이시백'은 모두 당시 문헌 기록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다.
이 뿐 아니다. 17세기 초 복식을 재현하기 위해 바닥에 끌릴 정도의 긴 소매의 의상을 제작한 것은 물론, 신분에 따라 달라지는 관자의 크기, 콧수염의 길이까지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