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터널 무료화 = 교통량 급증’ 공식 안 통했다

김동우 기자 friend@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백양 무료 후 차량 증가 10%뿐
시 예상 41%보다 크게 밑돌아
우려했던 차량 폭증 현상 없어
유료화 위한 논리적 명분 잃어
재유료화 계획 재검토 목소리
부산 통행료 체계에도 큰 파장

철거를 앞두고 있는 부산 사상구 모라동 백양터널 요금소. 정종회 기자 jjh@ 철거를 앞두고 있는 부산 사상구 모라동 백양터널 요금소. 정종회 기자 jjh@

지난 1월부터 통행료가 무료화된 백양터널이 무료화 이전과 비교해 교통량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료화로 교통량이 폭증할 것이라 예상했던 부산시의 예상이 빗나갔다. 시가 계획했던 백양터널 재유료화 명분이 힘을 잃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기존 유료도로의 민자 운영 종료 이후 요금 체계 전반에도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31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백양터널을 이용한 차량은 하루 평균 7만 9630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평균 7만 1930대에 비해 7700대(약 10.7%) 증가한 수치다. 상하행 각각 10.7%씩 늘었다. 시는 백양터널과 주변 도로 용량의 한계로 무료화 이후에도 교통량 증가율이 크지 않았다고 본다. 백양터널 일대 정체를 예상한 차들이 다른 도로로 우회하면서 교통량 증가 폭이 둔화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통행량은 백양터널 무료화 이전 시의 예측치와는 큰 차이가 있다. 시는 백양터널이 무료화되면 일일 교통량이 최대 41% 증가해 교통 혼잡이 가중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부산시는 이를 근거로 요금 인하 방식으로 유료 운영을 지속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여론의 반발로 신백양터널이 개통하는 2031년까지 조건부 무료화를 결정했다.

시는 이번 통행량 분석을 담은 ‘백양터널 주변 교통운영개선 기본계획수립 용역’에 따라 백양터널 일대 교통 운영 방식 개선을 검토할 계획이다. 다만 애초 예상치와 통행량이 다르게 나오면서 백양터널 옆 신백양터널 개통 이후 백양터널의 유료 전환은 숙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무료화로 인해 통행량 급증이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는 백양터널의 만성적인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신백양터널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31년부터 기존 백양터널 옆에 하행선 전용 3차로를 확장해 운영하는 사업이다. 기존 백양터널(4차로)은 상행선 전용으로 운영되고, 양방향 모두 민간사업자가 유료로 통합 운영하는 것이 현재 계획이다.

부산경실련 도한영 사무처장은 “무료화로 인한 영향이 사실상 없다는 점이 입증됐기 때문에 백양터널 재유료화는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 부산에서 운영되고 있는 유료 도로도 이번 용역 결과의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무료화할 경우 교통량 폭증 우려는 대부분의 유료도로에서 유료화 지속의 가장 큰 논거로 제시되고 있다. 현재 부산에서 유료로 운영되고 있는 도로는 5곳이다. 이 가운데 가장 먼저 민자 운영이 종료되는 수정산터널(2027년 4월)은 지난 6월 무료화가 결정됐다. 이후 민자 운영이 종료되는 도로는 을숙도대교, 부산항대교, 산성터널, 천마터널 순이다. 이들 도로 역시 민자 운영 종료 이후 교통량 등을 분석해 무료 전환 여부를 결정한다.

동아대 도시공학과 김회경 교수는 “다른 유료 터널에 적용된 교통 수요 예측도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며 “교통량에 영향을 주는 도로 환경 변화 등을 고려해 부산의 다른 유료도로의 운영 방식과 요금도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 결과를 고려해 백양터널 재유료화 여부를 검토하고 신백양터널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김동우 기자 friend@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