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매각, 반드시 ‘본사 부산 이전’ 조건으로 추진해야”
부산 상공인, 해수부 장관 간담회
전재수 “국정과제 포함, 해낼 것”
공유수면 점·사용료 감면 법제화
선박 수리 시간제한 해제 등 건의
부산 지역 상공계가 HMM 매각이 ‘본사 부산 이전’을 전제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에게 요청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8일 부산상의 상의홀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시대를 맞아 전 장관과 지역 상공인의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전 장관 취임 이후 부산 상공계와 가진 첫 공식적인 자리로 해양수도 부산의 위상 강화를 위한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지역 기업이 당면한 문제를 직접 해수부 장관에게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역 상공계의 핵심 주문은 HMM의 신속한 이전이었다. 김현겸 팬스타라인닷컴 회장은 “HMM 본사 부산 이전은 관련 산업 생태계 구축은 물론, 국내 대형 해운선사의 부산 집적화를 위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HMM은 정부 지분이 70% 이상인, 말 그대로 국가대표 국적선사인 만큼 정부의 빠른 의사결정을 통해 이전 절차를 추진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HMM 매각 조건에 ‘부산 이전’을 명문화하자고 요청했다. 김 회장은 “최근 포스코 등 대기업의 HMM 인수 검토 언론보도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 기업 부산 이전의 걸림돌이 돼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 기회에 ‘부산 이전’을 반드시 매각 조건에 명기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전 장관은 “단순한 자본주의 논리와는 성격이 다르다”며 “국가 기간산업이라는 대전제하에 매각 문제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해운 대기업의 부산 본사 유치는 국정과제에 포함이 돼 있고, 해수부가 반드시 해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항만 애로사항 해결 요청도 이어졌다. 김귀동 포코엔지니어링 회장은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공유수면 점·사용료를 납부하는데, 부산의 중소·중견 조선소는 도심에 있어 부담이 너무 크다”며 점·사용료 관련법에 감면 조항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김운석 덕재건설 대표는 부산항 입항 선박의 수리 작업 허가 시간 제한을 풀어달라고 건의했고, 강동석 동진기공 대표는 올해 말로 끝나는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면세점 임대료 50% 감면을 2027년 7월까지 연장해 달라고 당부했다.
양재생 부산상회 회장은 “해수부 이전을 마중물 삼아 북극항로 전초기지 구축, HMM 본사 이전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부산이 동북아를 호령하는 진정한 해양수도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수부가 적극 지원해 달라”고 말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