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북극항로 내년 시범운항… 전담조직 연내 신설"(종합)
부산 거점항만 육성 의지 천명
선사들에 예산 등 지원도 약속
여수~부울경~포항 권역 구상
수도권 대등한 경제 규모 전망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북극항로 시대가 열릴 때를 대비해 전담조직을 꾸려 내년부터 시범 운항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북극항로에 대한 시범 운항이 내년에 현실화된다면 해수부가 2010년대 현대글로비스를 시작으로 5차례 시범 운항을 실시한 지 10년 만에 북극항로에 다시 도전하는 것이다.
전 장관의 이런 구상은 지난 5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공개됐다. 전 장관은 “북극항로에서 시범 운항을 한다”면서 “정부 내 북극항로 업무 전담조직을 연내 신설해 관련 부처와 함께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10년대에 국적 해운사가 얼음 바다인 북극항로를 뚫고 화물을 수송하는 시범 운항이 추진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당시엔 2013년 현대글로비스를 시작으로 2016년까지 5차례만 시범 운항이 이뤄지고 중단됐다. 내년에 시범 운항이 이뤄지면 10년 만에 재도전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문대림 국회의원이 대통령 직속 ‘북극항로위원회’ 신설 등을 담은 ‘북극항로 구축 지원 특별법안’을 발의해 놓은 상태다.
전 장관은 자신이 업계, 학계 인사들과 함께 ‘북극성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해수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공약을 만들어 이재명 대통령에게 건의했다는 뒷얘기도 처음 공개했다.
전 장관은 북극항로 시범 운항에 대해 “최대한 빨리 진행할 것”이라면서 선사들에 예산 등의 지원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장관은 2027년 또는 2030년에 북극항로 연중 운항이 가능하다고 본 연구 결과를 인용하면서 “확실한 것은 ‘열린다’는 것이다. 인류가 예측하는 것보다는 더 빠를 듯하다”고 말했다.
전 장관은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해 마중물 역할을 하고 부산을 거점으로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해야 한다”면서 “여수·광양에서 시작해 부산·울산·경남을 거쳐 포항 영일만까지 이어지는 북극항로 경제권역이 생길 것이다. 경제 규모는 수도권과 대등한 수준이 될 텐데 5년 뒤부터 효과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 장관은 해수부의 연말 이전과 함께 해사법원과 동남권투자공사를 부산에 설립하는 작업도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은행으로 할거냐 공사로 할거냐 논란이 있지만 은행은 규제도 많고, 최대한 속도를 내려면 공사로 가는 게 맞다”라면서 “금융위원회와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수부 외에 해수부 관련 기관 여러 곳을 부산으로 이전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전 장관은 “(동남권) 해양수도권이 새로운 ‘성장 엔진’의 기능을 하려면 해수부뿐 아니라 관련 공공기관 등을 (부산에) 집적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며 “현재 대상 기관을 특정할 수는 없지만,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관을 검토하고 있다. 구성원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이전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장관은 7일 취임 후 첫 해수부 산하 17개 공공기관장이 참석하는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 같은 취지를 설명하고 “관련 공공기관도 집적해 정책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장관은 국내 유일의 원양 컨테이너 선사인 HMM(옛 현대상선) 외에 다른 여러 해운사 본사의 부산 이전도 필요하다면서 “의견을 듣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동원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다 모아서 주면 선사들이 항만 인프라가 잘 갖춰진 부산으로 갈 유인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해수부가 벌크선사인 SK해운, 에이치라인해운, 팬오션 등의 부산 이전을 원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적자금이 투입된 HMM 매각 작업에 대해서는 당분간 시도하지 않을 뜻을 내비쳤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