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첫 NSC 주재…“남북 평화가 실용적 해법”
NSC서 국익 중심 안보 기조 강조
외교·통일·국방 주요 현안 전반 점검
“사전 예방 안보” 중요성 거듭 강조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열고 남북 관계 복원을 통한 평화 공존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NSC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단절된 남북 관계 복원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남북 간 평화 공존이 우리 안보를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선택지”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오후 4시 40분부터 2시간 10분간 진행됐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국무회의와 유사하게 각각의 보고를 꼼꼼히 되묻고 확인하는 과정이 길었다”며 “특별히 한 이슈 때문에 오래 걸렸다고 하긴 어렵고,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데 있어 국제관계 속 안전과 평화의 문제, 국익을 더 개선할 수 있을지 이야기했다”고 전했다.
이어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국익을 가장 최우선으로 할 수 있는 게 어떤 것이냐는 다양한 논의가 오갔다”며 “한 방향을 정해놓고 관철하기 위한 의견을 모으기보다는 어떤 방법이 나을까에 대한 모색의 시간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 안보는 언제나 사후 대응보다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며 “요동치는 국제 정세 변화는 물론 국내 정치 상황과 한반도 특수성을 반영한 북한 변수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관계 부처 모두 한마음으로 국익을 최우선으로 평화와 실용, 국민 안전에 매진해야 한다”며 “국민의 삶을 안전하게 지켜낼 수 있게 함께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강 대변인은 “북한과의 (관계) 진척이라고 한다면 오물 풍선이나 대북 방송 등에 있어서 접경지역 국민 삶과 환경이 나아졌다거나, 얼마 전 표류해 남쪽으로 온 북한 주민이 별문제 없이 돌아간 부분에서 느끼는 평화, 안전해진 체감을 전달하기 위해 정부는 애를 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 것과 관련해 남북이 끊어져 있는 여러 가지 연결망과 대화망 등을 어떤 방식으로 복구 가능한가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외교·통일·국방 분야 주요 안보 현안과 대응 방안이 논의됐다. 회의에는 이 대통령을 포함해 김민석 국무총리, 김진아 외교부 2차관, 김남중 통일부 차관, 이두희 국방부 장관대행, 김민재 행정안전부 장관대행, 이동수 국가정보원 1차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김현종 국가안보실 1차장, 임웅순 2차장, 오현주 3차장 등이 참석했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