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이 정책 효과 체감할 수 있도록 소통 주력할 것” [민선 8기 3주년 박형준 부산시장 인터뷰]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투자·일자리 확충 주요 성과 자평
산은 이전 등은 유연한 접근 방침
균형발전 국정 최우선 순위 요청
“아파트 공급 과잉” 지적 적극 부인

박형준 부산시장은 민선 8기 출범 3주년을 맞아 30일 <부산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시민들이 정책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소통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찬 기자 chan@ 박형준 부산시장은 민선 8기 출범 3주년을 맞아 30일 <부산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시민들이 정책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소통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찬 기자 chan@

박형준 부산시장은 임기 중 핵심 성과로 부산의 산업 구조 전환이 일자리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는 점을 꼽고, 남은 임기 동안 시민들이 정책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소통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에는 지역이 함께하는 혁신균형발전을 강력하게 요청했다.

박 시장은 30일 부산시청 집무실에서 민선 8기 출범 3주년을 맞아 〈부산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그동안의 성과와 향후 추진 과제를 밝혔다. 박 시장은 2021년 4월 보궐선거로 부산시장에 취임했고, 다음 해 7월 재선에 성공해 민선 8기 임기를 시작했다.

박 시장은 민선 8기 부산시정에 대해 ‘글로벌 허브도시’와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라는 두 목표를 향한 다양한 과제들이 의미 있는 진전을 보인 결과, 투자와 일자리를 늘리고, 도시 경쟁력과 삶의 질을 높이고, 장기 과제들을 푸는 성과를 거뒀다고 자평했다.

그중에서도 취임 후 추진한 산업 구조 전환이 일자리 지표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가장 다행스럽다고 했다. “전반적인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부산 상용근로자 수가 5월 99만 8000명에 이어 6월에 역대 처음 100만 명을 돌파할 것 같고, 청년고용률도 지난해 3분기 46.7%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박 시장은 “신산업, 해양, 물류 등 분야에서 부산시가 하고 있는 투자 유치가 질 좋은 일자리로 계속 이어진다면 부산이 청년들이 나가는 도시가 아니라 들어오는 도시가 될 수 있다”면서 “해외 관광객과 생활 인구는 이미 뚜렷하게 늘어나고 있어 부산을 글로벌 허브도시로 만드는 작업에 상당한 탄력이 붙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 특별법’ 제정과 한국산업은행 본사의 부산 이전은 부산을 남부권의 새로운 혁신 거점으로 만들기 위해 “포기할 수 없는 과제”라고 했다. 새 정부 공약에는 포함되지 않아 시의 관철 전략에 대한 의문이 나온 것도 사실이다. 박 시장은 두 과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고수하면서도 새 정부 국정 과제와 연계해 유연하고 실용적으로 접근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그는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 특별법은 새 정부의 국정 과제인 북극항로 개척에 전제 조건을 만들어줄 수 있는 법안”이라면서 “북극항로 특별법과 결합하든 순차적으로 추진하든 정상적인 트랙에 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산업은행 또한 “부산·울산·경남 전체를 새로운 혁신 거점으로 만드는 데 메기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정책금융기관”이라면서 “고래(한국산업은행)와 참치(동남권투자은행)를 바꿀 수는 없지만, 고래를 살려 놓으면서 함께 시너지를 거둘 수 있는 형태라면 정책 효과가 배가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와 함께 박 시장은 새 정부가 혁신균형발전을 국정 과제의 최우선 순위에 두도록 강력하게 요청하고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떡 하나 더 주는 대신 떡시루를 하나 더 만드는’ 혁신균형발전은 지역뿐 아니라 대한민국을 살리는 핵심 전략입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이런 관점을 확고하게 갖고 지역 문제를 후순위로 밀어놓지 않도록 전력을 다할 참입니다.”

민선 8기 시정에 대한 쓴소리나 부정적인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겸허하게 받아들인다”고 했지만, ‘부산에 보이는 게 아파트밖에 없다’는 비판은 특히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부산의 아파트 공급 물량은 6대 광역시 중에 하위권이고, 오히려 1인 가구와 공공주택 공급을 위해서는 적정한 아파트 공급이 더 필요한 시점이라는 통계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박 시장은 “투자 유치나 산업 전환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려면 3~4년 정도 시간이 걸릴 텐데, 앞으로 더 적극적인 현장 중심의 민생 경제 정책을 추진하면서 시민들이 부산의 긍정적인 변화가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체감할 수 있도록 진정성 있게 소통하겠다”면서 “시민들도 앞으로 펼쳐질 부산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봐주시고 성원해주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