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산업계·시민단체 "바다의날을 국가 공휴일로"
신해양강국국민운동본부 성명
"해양 중요성, 국민 인식 제고"
바다의날(5월 31일)을 약 두 달 앞두고 해양 관련 산업계와 시민단체가 바다의날 국가 공휴일 지정을 청원하고 나섰다.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 한국해운협회, 부산항발전협의회 등 해양 관련 산학연을 아우르는 신해양강국국민운동본부는 31일 성명을 내고 바다의날 국가 공휴일 지정을 청원했다.
운동본부는 “5월 31일은 불멸의 해양 선각자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한 날을 기념하는 날”이라고 밝히고, “3면이 바다로 열려 있고, 바다 면적이 육지의 3배인 우리에게 해양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국제 상황에 적극 대처하고, 해양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마침 이번 바다의날이 토요일이어서 국가 공휴일로 지정하면 내수 진작 등 부수적 효과도 크므로, 올해부터 국가 공휴일로 지정하자는 취지다.
1996년 5월 31일 처음 국가 기념일로 지정된 바다의날은 올해로 30주년을 맞는다. 통일신라 시대 당과 왜의 무역 요충인 전남 완도 앞 청해에 장보고가 군사 거점인 진을 설치해 해적을 막고 안정적인 교역을 보장함으로써 해상 무역이 활발하게 이뤄지게 한 사실을 기념하는 의미로 지정됐다. 이번 청원 성명 이후 운동본부는 국회와 정부를 상대로 바다의날 국가 공휴일 지정을 촉구하는 실무 협의와 요청서 전달 등의 절차를 밟아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양산업계에서는 해양국가를 표방하는 많은 나라들처럼 바다의날을 국가 공휴일로 지정하는 것과 함께, 특정 기념일만 해양과 바다를 생각할 것이 아니라 국가 정책 순위에서도 해양 정책을 우선순위에 올려야 한다고 꾸준히 주장하고 있다.
부산항발전협의회 박인호 공동대표는 “장보고의 청해진이 동아시아 해상 무역 전성시대를 열었던 점에 비춰보면, 해상 교통로의 자유롭고 안전한 통항의 중요성이 국제사회의 최대 이슈로 부각되는 지금 상황에 더욱 그 의미가 크다”며 “우리 선조의 눈부신 업적을 널리 기리면서, 오늘날 해양 관련 산업 종사자와 그 가족까지 450만에 이르는 해양수산·물류·조선 관련 인구의 노고에 배려와 감사의 뜻을 나누는 공휴일로 지정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