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항 활성화 위해 복합리조트 유치 적극성 보일 때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북항 랜드마크 부지조차 매각 불발
국제관광도시 위상 높일 개발 절실

부산항 북항 재개발의 앵커시설이 될 1단계 랜드마크 부지 전경. 11만 3286㎡로 1단계 사업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항 북항 재개발의 앵커시설이 될 1단계 랜드마크 부지 전경. 11만 3286㎡로 1단계 사업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 북항에 앵커형 랜드마크인 복합리조트를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 신임 집행부가 올해 들어 재추진을 공언하고 나섰고, 22대 지역 국회의원들도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과 병합해 심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본격적인 동력이 생길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내 첫 항만 재개발 사업지인 부산 북항은 노후한 원도심을 부흥시켜 동서 개발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하지만, 북항 사업지 정중앙에 11만 3316㎡에 이르는 최대 규모의 랜드마크 부지조차 매각되지 않는 등 활성화의 계기를 좀처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북항 복합리조트 재추진 움직임은 상공계를 중심으로 불붙는 모양새다. 부산상의 양재생 회장은 지난달 30일 부산 지역 국회의원 13명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갖고 ‘복합리조트 부산 유치’를 공식적으로 제안했다. 이 자리에서 지역 국회의원 상당수는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관련 법안을 제출해 현재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과 함께 병합심사하겠다”라고 답변했다고 한다. 이런 흐름은 사회·경제적인 변화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평가다. ‘카지노=사행 산업’이라는 비판적인 여론이 비교적 퇴색한 데다가, 올해 부산이 광역시 중 첫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되면서 “지역 생존을 위해서는 기폭제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거세기 때문이다.

실제로 부산 북항 복합리조트 조성은 미국 샌즈그룹의 5조~12조 원 규모 투자 약속과 부산시 연구용역 발표 등 2013년부터 본격화됐지만,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사회적인 논란 속에서 흐지부지됐다. 그 사이에 일본 오사카와 태국은 2029년부터 오픈형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를 건설키로 하는 등 약진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가덕신공항이 개장될 예정인 2029년에 이들 도시에 복합리조트가 들어서면 해외 관광객 분산은 물론이고, 국내 관광객의 해외 유출마저 가팔라질 전망이다. 게다가 복합리조트 1곳을 운영 중인 인천도 올해 안에 1곳을 추가 개장할 예정이다. 부산만 불필요한 규제와 논쟁으로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복합리조트 산업에서 뒷걸음질 치는 형국이다.

부산의 미래 먹거리인 북항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복합리조트를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한다. 부산시는 물론이고 부산항만공사, 부산상의, 지역 정치권, 학계 모두가 복합리조트 유치 전략을 세워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 중앙정부와 정치권도 국가 예산이 아닌, 대규모 민간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규제 개혁과 입법,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 세계적인 복합리조트 개발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국내 법 개정이 필요 없는 ‘한국형 복합리조트’ 우선 도입도 고려할 만하다. 국제관광도시 부산이 아시아 주요 관광도시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북항 복합리조트 유치는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