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고교학점제 취소 안 돼…영어 교육 초3부터 해도 충분”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고교학점제 안착 못 했지만 현장 얘기 듣고 대응책 마련”
“‘서울대 10개’ 예산 지거국 3곳 착수 정도…높여가야”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2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친북 성향 논란 관련 질의에 답변하던 중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2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친북 성향 논란 관련 질의에 답변하던 중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올해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전면 시행 중인 고교학점제가 학교 현장에서 아직 안착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제도 자체를) 취소할 일은 절대 아니다”라고 2일 밝혔다.

최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고교학점제가 제대로 시행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어 “철저하게 잘 준비해야 했는데, 막상 올해 시행을 하고 보니까 선생님들이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비판하고 있다”면서 “현장의 의견을 들으면서 현실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을 모아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후보자는 “교원 (충원) 문제와 입시 관련 문제에 대해서는 행정안전부와 국정교육위원회와 협의하는 등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적어도 우리 학생들이 시험 도구가 되지 않고, 학교와 교육부를 믿고 갈 수 있도록 최대한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최 후보자는 또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 예산으로 8733억 원이 투입되는 데 대해선 “단계적으로 높여가야 할 것이라고 본다”며 “저 정도의 예산은 (지방거점국립대) 9개 지역 중 세 군데 착수에 필요한 정도의 예산”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최 후보자는 영유아 영어 교육 문제에 대해 “유아들이 우리말도 인식하기 전에 외국어를 가르치는 일은 줄여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국가교육 과정 전체로 볼 때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를 해도 충분히 따라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세종시 교육감이었던 2014년 유아들에 대한 영어 교육 자체가 아동 학대일 수 있다고 판단해 관내 국립 단설유치원에서 영어 수업 또는 방과 후 수업도 못 하게 했다고 언급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