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246→289개로 확대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기후 위기에 대형·장기 재난 대응
모든 행정복지센터 등 정비·지정

경남 창원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안내판.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안내판. 창원시 제공

갈수록 심화하는 기후 위기로 극한 호우 등 대형·장기 재난이 잦아짐에 따라 창원시가 이재민 임시시설 확대에 팔을 걷어붙였다.

창원시는 지역에 마련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을 기존 246개에서 289개로 확대 정비했다고 2일 밝혔다. 이를 통해 재난 발생 시 이재민의 신속한 대피와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번 정비는 지난 6월부터 창원 내 모든 읍면동사무소 합동 전수조사와 현장 점검을 바탕으로 추진됐다. 단계별 운영 체계 구축과 이재민 수용 능력 재산정, 시설 유형 다양화 등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먼저 창원시는 53개 행정복지센터를 우선 지정해 재난 발생 시 즉시 임시주거시설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샐활권 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행정복지서비스도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 내 체육관이나 연수시설, 민간 숙박시설 등은 대규모 재난이나 장기 체류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협조를 구했다.

특히 이순신리더십국제센터와 경남대학교 옥계연수원 등은 독립형 숙박 공간을 갖춰 장기 체류 시 이재민의 사생활 보호와 심리적 안정, 일상 회복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로 마련했다.

게다가 창원시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지난 2월께 재해구호물자 424개를 자체 제작·비축했다. 앞으로 임시주거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 등을 벌여 시민이 체감하는 재해구호 대응 역량을 갖추겠다는 방침이다.

창원시 최영숙 복지여성보건국장은 “최근 기후 위기로 재난의 형태가 예측 불가능해지는 상황에서 실효성 있는 임시주거시설 확보는 시민 생존권 보장의 핵심”이라며 “체계적인 관리와 내실 있는 운영을 통해 시민의 안전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