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부산국제의료관광컨벤션] 시민 체감형 콘텐츠·글로벌 비즈니스 순환 통합 플랫폼 ‘우뚝’
5~6일 해운대 벡스코서 개최
의료·관광·웰니스 3개 존 구성
14개국 해외 바이어 77명 참여
체험형 팸투어·세미나 등 강화
시민·외국인 거주자 행사 풍성
부산형 웰니스 프로그램 참여도
지역 의료관광은 물론 K의료관광을 이끌며 국내 의료관광에 큰 획을 그은 국내 최대 규모 의료관광 전시회 ‘부산국제의료관광컨벤션’이 올해도 새 시장 개척에 앞장선다. 부산시와 부산일보사는 오는 5~6일 이틀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2025 부산국제의료관광컨벤션(BIMTC 2025)’을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특히 올해는 부산국제의료관광컨벤션 행사 기간에 벡스코에서 ‘2025 시민건강박람회’(5~7일), ‘2025 글로벌헬스케어위크’(4~6일), 올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헬시 베이비 페스티벌(5~6일)’이 동시에 열린다. BIMTC 2025가 시민 체감형 건강 콘텐츠와 글로벌 비즈니스 교류가 순환하는 통합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체험형 팸투어 강화 ‘눈길’
131개 유관 기관·업체가 200여 개 부스를 꾸리고 해외 환자 유치를 위한 최신 의료기술과 의료관광 정보를 나누는 올해 전시회는 의료기관존·의료산업존·웰니스존 등 3개 존으로 구성된다. 각 존은 의료·관광·웰니스의 최신 동향과 협력 모델을 보여주며, 산업계와 시민이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올해는 14개국 바이어 77명이 참가한다. 비즈니스 프로그램은 사전 일대일 매칭 방식으로 운영되며, 현장 상담 품질을 높이기 위해 통역 지원 언어는 몽골어·러시아어·영어·중국어·일본어가 제공될 예정이다. 상담 매칭 라운지는 예약·현장 신청 병행, 상담 슬롯 운영 등을 통해 실질적인 계약·파트너십 성과를 견인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전시회 전후로 체험형 팸투어가 한층 강화된 점이 눈에 띈다. 행사 전날인 오는 4일에는 바이어들이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수술·회복 프로세스, 외국인 환자 응대 시스템 등 현장 역량을 직접 확인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행사 다음 날인 오는 7일엔 웰니스 기관 팸투어를 통해 바이어들이 부산형 웰니스 루트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바이어들은 이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부산의 의료기술과 웰니스 자산을 연계한 체류형 의료관광 패키지의 경쟁력을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식행사는 통합 개막 관련 프로그램과 오찬으로 구성되며, 전시 기간 내내 국제학술행사·세미나가 병행된다. 현장에서는 글로벌 환자 유치 전략, 의료서비스와 관광상품의 결합 모델, 도시 브랜딩과 의료관광의 상호작용 등 정책·산업·현장 이슈가 다각도로 논의될 예정이다.
특히 이미지·스타일 전문기업 크레비 박영신 대표와 인기 뷰티 크리에이터 효진조는 오는 6일 오후 3시 코스메디뷰티 세미나를 통해 K스타일링, 메이크업의 비법을 선보일 계획이어서 해외 바이어들은 물론 시민들의 큰 관심이 모일 것으로 보인다.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 행사 풍성
이번 전시회에선 시민과 외국인 거주자를 아우른 부대행사도 대폭 확대됐다. 응급처치 교육은 유아·아동부터 청년, 중장년, 노년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했다.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기도 막힘 대처 등을 실습 중심으로 진행해 일상에서 반드시 필요한 안전 지식을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데 중점을 뒀다.
전시회 기간 중인 오는 6일 오후 1시 30분엔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2025 외국인유학생 건강축제-부산의료관광 한국어 말하기 대회&OX 퀴즈대회’도 열린다.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과 부산의 웰니스·관광 체험을 공유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부산 의료관광의 강점을 자연스럽게 알리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한국어 말하기 대회는 서류 심사 등 사전 심사를 거쳐 선발된 10명이 발표를 진행하며, 골든벨 형식으로 진행되는 OX퀴즈 대회는 100명으로 시작해 최후 1인이 남을 때까지 진행된다.
지역 웰니스 기관이 참여하는 명상·호흡·요가 프로그램도 참여해 볼만하다. 짧은 체험 세션을 통해 참여 시민들이 마음 건강과 신체 균형을 점검하는 한편 생활권에서 즐길 수 있는 부산형 웰니스 자원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전시회와 더불어 여러 행사들이 함께 열리면서 전시·학술·상담·체험이 한 자리에서 이뤄져 지역 의료·웰니스 생태계에 점진적인 활력이 더해지고, 현장을 중심으로 정보 공유와 교류가 자연스럽게 확장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시민은 건강·웰니스 관련 콘텐츠를 폭넓게 접하고, 참가 기관·기업은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향후 협력 가능성을 탐색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산은 권역별 의료 특화와 천혜의 관광·도시 인프라를 함께 갖춘 글로벌 웰니스·의료관광 도시”라며 “시민 참여형 부대행사와 바이어 중심의 비즈니스 프로그램, 의료·웰니스 팸투어가 유기적으로 결합해 실질적인 성과와 지속 가능한 파급 효과가 만들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