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니스 해변처럼” 부산 해운대 달맞이공원 조성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4일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공원 기공식
한국 대표 조경가 정영선 작가 참여
“생태·경관·문화 공존 자연주의 공원으로”


부산시는 14일 오후 3시 부산 해운대구 중동 달맞이공원 조성 예정지에서 기공식을 연다고 이날 밝혔다. 달맞이공원 내 웰니스 공간 구성안.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14일 오후 3시 부산 해운대구 중동 달맞이공원 조성 예정지에서 기공식을 연다고 이날 밝혔다. 달맞이공원 내 웰니스 공간 구성안. 부산시 제공

20여 년간 방치되어 온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고개 일부 공간이 국내 대표 조경가의 손을 거친 ‘달맞이공원’으로 거듭난다. 부산시는 14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중동 달맞이공원 조성 예정지에서 기공식을 열었다.

달맞이공원은 총사업비 233억 원을 투입해 2028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된다. 천혜의 해운대 해안 경관을 살리면서도 생태·경관·문화가 공존하는 자연주의 공원으로 조성하겠다는 게 시의 계획이다.

전체 면적은 3만 3427㎡ 규모로, 공연과 체험 등 문화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달빛 마당’, 부산의 정원문화를 담은 ‘달맞이 정원 마을’, 명상과 웰니스 공간인 ‘달맞이 명상 쉼터’ 등이 마련된다.

시는 달맞이공원이 프랑스 니스 해변이나 캐나다 밴쿠버 스탠리 공원처럼 해안과 공원이 어우러진 세계적 명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번 사업에는 한국 자연주의 조경의 대표적인 개척자인 정영선 작가가 대표 정원 작가로 참여한다. 정 작가는 ‘조경은 땅에 쓰는 시’라는 철학으로 예술의전당, 선유도공원, 여의도샛강생태공원, 서울식물원 등 다수의 공공 프로젝트를 통해 생태적 질서와 땅의 맥락을 존중하는 디자인으로 한국 조경사의 큰 족적을 남겼다. 한국인 최초로 세계조경가협회(IFLA) 제프리 젤리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정 작가는 달맞이공원의 핵심 공간인 ‘달맞이 정원 마을’의 콘셉트와 설계를 총괄하며 부산을 대표할 새로운 정원 문화를 제시할 예정이다.

달맞이공원 부지는 달맞이 고개의 난개발을 막기 위해 2002년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된 이후 장기간 미집행 상태였다. 2020년 공원일몰제를 앞두고 난개발이 우려되면서, 시는 본격적으로 일대 용지 매입을 시작했다. 2022년부터 본격적인 토지 보상이 추진됐고 지난해 9월 부지 확보를 마치면서 공원 조성에 탄력을 받게 됐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달맞이공원은 생태·경관·문화가 공존하는 자연주의 공원으로, 해운대 관광벨트와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부산의 도시공원은 시민의 일상 속 휴식과 품격을 높이는 기반시설로, 앞으로도 생활권 공원을 지속 확충해 ‘15분 도시 부산’ 비전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