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한반도 평화 지원해달라”…유엔총장 “‘END 구상’ 공감”
UN(유엔)총회 참석차 방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우즈베키스탄·체코 정상 연쇄 회담을 가지며 ‘국익중심’ 실용외교의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올해가 한-체코 수교 35주년이자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1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로서, 그간 양국 관계가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어 온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양국 간 협력이 원전을 넘어서 반도체, 전기차, 방산 등으로 확대되어 호혜적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파벨 대통령은 지난 6월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최종 계약이 체결된 것을 언급하며 “우리가 한국 기업의 우수한 능력을 높이 평가한 것”이라고 화답했다. 파벨 대통령은 방한을 희망한다는 뜻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샵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도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을 했다. 이 대통령은 “양국이 철도, 공항, 도로를 포함한 교통·인프라를 비롯하여 핵심광물 등 공급망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확대해 나간다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즈베키스탄 내 고려인 17만여 명이 정재계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양국 관계 발전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한편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이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제시한 ‘END 이니셔티브’ 구상에 대해 “현명한 접근”이라고 평가하며 “유엔도 적극 지원, 지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END 이니셔티브 구상은 북한 비핵화를 위해 교류(Exchange)-관계 정상화(Normalization)-비핵화(Denuclearization)의 세 단계 과정을 거친다는 구상이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의 지지 발언에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는 국제사회 전체의 평화안보와도 연계되어 있다”며 유엔의 아낌 없는 지원을 당부했다.
이번 유엔총회 방문에서는 고착상태에 놓인 관세협상 해결을 위해 미국 내 정치권·오피니언 리더와의 접촉도 이어갔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미국 뉴욕 브리핑에서 “미국 상하원 의원 면담과 미 오피니언 리더 만찬에서 미국의 비자제도 개선, 관세협상,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에 관련한 논의를 가졌다”며 “한미 관계 발전에 대한 미국 의회와 조야의 폭넓은 지지를 확보하고, 특히 비자제도 관련 초당적 지지를 이끌어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과 함께 미국을 방문 중인 김혜경 여사는 이날 유엔총회 참석국 정상 배우자를 대상으로 열린 리셉션에 참석했다. 이번 리셉션은 유엔 총회 참석국 정상 배우자들을 대상으로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라는 주제로 열렸다. 김 여사는 리셉션에서 베트남, 호주, 캐나다, 파푸아뉴기니, 튀르키예, 리투아니아, 슬로베니아 등 각국 정상 배우자들과 반갑게 인사를 나누며 교류했다. 김 여사는 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국 정상 배우자들에게 “우리나라가 주최하는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대한민국에서 다시 만나기를 기대한다”며 성공적인 회의를 기원하며 힘을 보탰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