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기후총회, 화석연료 감축 이행방안없이 폐막…선언적 내용 담아
브라질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종료
화석연료 단계적 감축 구체적 합의안 없어
지구온도 산업화대비 1.5도 이하 억제키로
11월 22일 브라질 벨렘에서 열린 COP30 유엔 기후 정상회의에서 COP32 주최국인 에티오피아 대표들이 사진 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가 화석연료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없는 합의문을 가까스로 도출하고 막을 내렸다.
일부 참가국은 화석연료 퇴출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이 빠진 합의문에 불만을 표출했지만, 미국이 이번 회의를 외면하고 기후위기 대응 노력과 다자주의가 도전받는 현 상황에서 당사국들이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다는 평가도 나온다.
기획재정부는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11월 23일(한국시간) 폐막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에는 협약 당사국을 포함해 국제기구, 산업계, 시민단체 등 5만여 명이 참석했다.
우리나라는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수석대표, 정기용 외교부 기후변화대사가 교체 수석대표를 맡았으며 관계부처 담당자와 전문가로 구성된 정부대표단이 참석했다.
올해는 파리협정 채택 10주년이 되는 해로, 의장국 브라질은 컨센서스에 바탕한 기존 협의 방식을 존중하면서도 기후위기의 긴급성을 감안해 그 이행을 가속해야 한다는 취지로 ‘무치랑 결정문’을 주도했다. 50여시간에 달하는 당사국과 의장단 간 막판 철야협의 끝에 채택됐다.
이 결정문은 △기후위기에 함께 대응하자는 공동협력의 중요성 △올해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제출이라는 파리협정 정책 주기의 본격적 운영 △글로벌 이행 가속기와 벨렝 1.5℃ 미션 등 각국의 기후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전지구적 이행 플랫폼 출범 등을 포함했다.
이번 회의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석유 석탄 가스 등 화석연료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에너지 전환에 관한 사항을 합의문에 명문화할 수 있을지를 두고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에너지시스템의 화석연료로부터의 전환’에 대한 구체적 이행방안도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은 일부 국가의 강한 반대로 인해 무산됐다.
공동선언문은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적응 재원을 2035년까지 현 수준의 약 3배로 늘리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의 이행 가속화를 목표로 하는 새로운 자발적 이니셔티브를 운영하기로 했다.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해 온실가스 감축 작업 프로그램(MWP) 결정문에서는 올해 주제인 산림과 폐기물에 대한 주요 논의 결과가 반영돼 전 지구적 온실가스 감축을 촉진하기 위한 부문별 접근 방향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기후위기 대응에 목소리를 내 온 메리 로빈슨 전 아일랜드 대통령은 “완벽하지 않으며 과학이 요구하는 것과 거리가 멀다”며 “그러나 다자주의가 시험받고 있는 시기에 국가들이 계속 함께 전진하고 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라고 평가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