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효 시의원 “부산테크노파크 시험 장비, 부산 기업 활용은 절반도 못 미쳐”
6일 부산테크노파크 행정사무감사
TP 보유 장비 활용, 외지 기업이 절반 이상
TP, 지역 중소기업 지원 제 역할 못해
지역 기업 활용 확대 위한 방안 마련 시급
부산테크노파크(TP)가 보유한 시험·분석 장비의 주고객은 부산이 아닌 타 지역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기업의 활용 비중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부산 기업의 장비 활용률을 높이고 이로 인해 지역 산업이 활성화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져야 하는 데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이다. 이에 부산시의회에서 바우처 사업 도입 등 부산 기업의 활용 확대를 위한 부산테크노파크 운영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시의회 김태효(해운대3) 의원은 6일 열린 부산테크노파크 행정사무감사에서 이 같은 문제를 지적하며 “부산테크노파크가 지역 산업에 대해 너무 관심이 없는 것 아니냐”고 질타했다.
부산테크노파크가 김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수익이 발생한 TP 장비를 대상으로 활용 기업의 지역을 조사한 결과 부산 기업의 장비 활용 비중은 평균 43.7%에 그쳤다. 나머지 56.3%는 경남·경기 등 역외 기업들이 차지했다. 가동률은 3년 평균 65.1% 수준이었다.
부산테크노파크 산하 센터별로 보면 의료기기 시험인증 장비가 있는 바이오헬스센터의 부산 기업 장비 활용률이 14.9%로 가장 낮았다. 뒤이어 해양ICT센터(36.4%), 전력반도체센터(37.7%), 융합부품센터(40.6%), 모빌리티센터(42.0%) 순으로 부산 기업의 장비 활용률이 낮았다.
역외 지역 중에서는 경남·경기 기업들의 활용이 활발했다. 전력반도체센터 장비는 경기권 기업들 활용률이 55.2%에 달했다. 사실상 국비를 확보하고 시비를 보태 장비를 구축했지만 정작 부산 기업들이 혜택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
부산테크노파크 측은 일부 장비가 중앙부처 예산으로 구축된 만큼 타지역 기업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지역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사업 목적을 위해 출자출연해 설립한 부산테크노파크의 설립 취지에 맞게, 장비 활용에 있어 부산 기업의 접근성과 편의를 좀 더 강화해야 한다는 비판했다.
또 경남처럼 바우처 제도 도입 등을 검토해 부산 기업의 활용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남은 장비 활용료의 일부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최근 경기침체와 투자 위축으로 인해 지역 내 중소기업의 장비 사용 접근성도 저하된 만큼 바우처 사업을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지역 기업 활용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 하는 것은 내 집 살림을 옆 집 사람이 더 많이 쓰는 격이다. 나눠 쓸 순 있으나, 우선은 부산기업이라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며 “부산기업 활용률 제고를 위해 지역기업 장비 활용 비용 할인, 바우처 사업 유치 등을 제안하고 반영 여부와 효과성을 계속 모니터링 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