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행, 해수부 ‘직원 대출’ 사업자 선정
부산 이전 직원 주택 대출 관련
전담은행 선정, 해수부와 첫 거래
해수부 이전 지원 TF팀 ‘성과’
동구 임시청사에 지점도 들어서
해양수산부 이전에 맞춰 ‘해양수도 은행’ 전략을 새로 짜고 있는 BNK부산은행이 ‘직원 대출’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부산 이전 해양수산부와의 첫 거래를 트게 됐다. 해수부 유관단체인 수협이라는 경쟁자가 있었지만,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사업을 따낼 수 있었고 이를 계기로 해수부와의 거래가 본격 시작될 전망이다.
16일 해수부와 BNK금융그룹 등에 따르면 최근 해수부는 공모를 통해 부산 이전 직원들을 위한 주택 관련 대출 전담 은행으로 BNK부산은행을 선정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부산 이전 시 직원들의 거주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부담이었고, 전세 입주 시 재정적으로 일정 부분을 지원하는 게 있어 이를 전담할 은행을 입찰을 통해 선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BNK금융은 부산 이전 직원들의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을 제공하게 된다. BNK금융 관계자는 “서울에 있다 세종으로 내려갔는데 또다시 부산으로 내려가려고 하니 주택이 여러 채이거나 급히 주택 정리가 안 돼 불가피하게 신용대출을 해야 하는 직원들이 있다”면서 “정책적으로 뒷받침해야 할 부분도 있지만 금융에서 풀어줘야 하는 부분도 있어 BNK가 마진을 최대한 적게 가져가면서 저금리로 지원키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BNK금융은 해수부 이전과 ‘해양수도 부산’ 전략에 발을 맞추기 위해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금융지주 전략기획부 내에 해양도시전략팀을 신설하고 해수부 이전 지원 TF팀을 꾸렸으며, 해양금융을 강화하기 위해 해양금융부도 신설했다. 이번에 직원 대출을 통해 해수부를 처음 ‘뚫은’ 것도 이 같은 노력의 성과로 해석된다.
부산 동구 해수부 임시청사 내에 부산은행 지점도 들어선다. 현재 세종 해수부 청사에는 수협은행만 있는데 지점도 이번에 새로 ‘뚫은’ 셈이다. 영업점이 될지 출장소가 될지 규모는 정해지지 않았다. BNK금융 관계자는 “해수부 이전과 관련해 BNK금융의 역할을 기대하는 이들이 많다”면서 “하나하나 차근차근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역에서는 지역소멸 위기 극복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명분 하에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는 만큼, 해수부도 지역 이전 공공기관들과 마찬가지로 지방은행 예치 비율을 높여가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해수부 관계자는 “지역에 내려가면 그 부분에 대한 수요가 있고 요청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의견을 들을 것”이라면서도 “해수부가 부산으로 내려가긴 하지만 중앙부처로서의 정체성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지역민뿐 아니라 전체 국민을 생각해야 하는 점도 고려해 달라”고 당부했다.
BNK금융은 이와 별개로 새로 설립될 동남투자공사와의 협업 모델도 만들어 제안하고 있다. 동남투자공사가 정책금융기관 성격이 될 가능성이 높아 지역은행인 BNK와 협업할 부분이 많아 보여서다. BNK금융 관계자는 “수십 년간 중소기업 지원을 해오는 등 지역 금융에 대한 이해가 높고 밀착금융이 가능해 동남투자공사와 상호 작용을 하며 협업할 부분이 많아 보인다”면서 “선박 선수금환급보증(RG) 대규모 발급과 신디케이트론 등 다양한 모델들을 만들고 있고 정책 제안을 한 것도 있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