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고독사 위험군 17만 명… 부산은 1만 6237명
전국 위험군 대비 부산 비중은 9.5%
“실제 고독사 발생 현황과 괴리” 지적도
지난해 처음으로 정부가 전국의 고독사 위험군을 조사한 결과 17만여 명이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부산은 약 1만 6000명으로 전체의 9.5%로 나타났다.
16일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확인된 고독사 위험군은 총 17만 938명이다. 서울이 5만 3136명으로 전국 위험군의 31.1%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광주 3만 159명(17.6%), 부산 1만 6237명(9.5%), 인천 1만 5680명(9.2%), 경기 1만 883명(6.4%), 대구 8599명(5.0%) 등의 순이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고독사 예방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하며 처음으로 전국의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파악에 나섰다. 부산시는 2019년부터 사회적 고립 가구 실태 조사를 매년 수행하면서 구·군 동행정복지센터 등을 통해 고독사 위험군을 파악해왔다.
처음으로 전국적인 고독사 위험군 규모가 도출됐지만, 실제 고독사 발생과 괴리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지자체의 적극 행정 여부에 따라 위험자 발굴 규모가 달라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실제 위험군이 누락될 수 있다는 것이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간 지역별 고독사 현황을 보면, 경기는 고독사가 3062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위험군은 전국 17개 시도 중 4위였다. 광주는 위험군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집계됐지만, 실제 고독사는 440명으로 15위였다.
전국적으로는 고독사가 2020년 3279명에서 2023년 3661명으로 382명 늘었다. 특히 경기 지역의 고독사가 678명에서 922명으로 늘었고, 대구에서도 125명에서 183명으로 늘었다. 부산은 2020년 315명에서 2023년 287명으로 28명 줄었다.
정부는 올해 고독사 위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고, 내년부터는 고독사 발생 현황을 전산화해 나이·성별 통계 분석과 사례관리 이력 추적 등에 나설 예정이다.
서미화 의원은 “지자체는 적극적으로 위험군을 찾아내야 하고, 정부는 시스템 전산화를 신속히 마무리해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