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 작품들이 책 속으로 들어가 놀아요”
이정윤 설치미술가 그림책 발간
그동안 선보인 조각들 모두 등장
150여 점 회화 직접 그려 제작
인문학적 메시지에 어른도 열광
영화 드라마 소설에선 현실의 인간이 책 속 세계로 들어가 모험하는 설정이 드물지 않게 나온다. 실제로는 가능하지 않겠지만, 우리는 순식간에 몰입돼 이야기에 빠져들게 된다.
지난 2008년부터 조각, 설치 미술 작가로 활동했고, 굵직한 미술상도 여럿 받은 이정윤 작가. 부산 출신인 그가 얼마 전 자신이 만든 그림책을 내밀었다. 지난 1년간 작업실에 틀어박혀 완성한 작품이란다. 작품을 통해 매번 새로운 시도를 했지만, 이번에는 완전히 다른 매체인 책에 도전했다는 점이 신선했다. 책 페이지마다 작가의 작품이 등장한다. 지난 17년간 전시실에서 본 작가의 모든 작품이 책 세계에서 살아 숨 쉬고 있다. 이야기에 그림까지 직접 그리는 동화 작가는 꽤 많지만, 조각 설치 작가가 자신의 작품으로 그림책을 만드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 작가는 종이 금속 섬유 풍선 레진 유리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해 작품을 만든다. 신발 바닥에 압정이 거꾸로 박힌 구두, 하이힐 신은 커다란 코끼리, 마법사 모자, 알록달록한 선인장, 세계를 여행하는 봉제 인형, 여행하는 미술관, 김 씨의 자가용(UFO), 유리 행성, 알록달록한 색동달, 장식물(오너먼트), 액체 고양이(Liquid cat), 초록의 유리 온실 등 일반적인 조각과 다르다. 작품을 구상할 때부터 각자 사연을 가진 캐릭터로 생각한다고 했다.
이 작가는 “눈으로 하는 감상을 넘어 우리 삶의 경험이 예술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예술이 삶으로 이어지고, 삶 역시 예술로 들어와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어린이 예술 체험 교육, 신경정신과 미술 치료에 이 작가의 작품이 많이 활용되며, 전국 어린이 미술관에서 체험 전시도 열었다. 작가이자 예술교육 기획자로도 유명하게 된 이유이다.
작가에게 이번 그림책 제작은 늘 했던 조각, 설치 작품과 다르지 않다. 5살때 그림을 시작한 이 작가는 입체 작품 역시 평면 이미지부터 시작한다. 머릿속에 떠올린 이미지를 드로잉으로 스케치한 후 이걸 어떻게 입체로 구현할지 고민하는 식이다. 지난 1년간 힘든 시기를 보내며 자신이 창조한 캐릭터들을 돌아봤다. 이들이 작가에게 말을 건네기 시작했다. “예술 안에서 무엇이든 될 수 있다며? 너도 그렇게 유연하게 뭐든 해 봐!”
코로나 팬데믹, 계엄령 등 답답한 상황에서 불안과 고립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았다. 힘든 시기를 보내는 작가 자신에게도, 불안해하는 우리 사회에 작가의 주된 메시지인 “무엇이든 될 수 있어! 괜찮아”라는 말을 꼭 전하고 싶었다. 작가의 메인 캐릭터인 하이힐은 신은 코끼리와 액체 고양이가 다양한 상황에 직면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상황을 150여 점의 아크릴 회화로 탄생했다.
<액체고양이와 다정한 오너먼트>는 여행하는 코끼리로 시작된다. 어느 날 푸른 초록 그림자 숲으로 들어갔는데 길을 잃는다. 언덕에 앉아 덩그러니 하늘을 보는데 갑자기 언덕이 움직이며 말한다. 자신이 초록 숲을 지나는 법을 알려주겠다는 것이다. 이 숲에선 진짜 모습을 보여주면, 길을 잃기 때문에 계속 변신하며 전진해야 한단다. 그런데 둘은 마법처럼 많은 형태로 변신하며 숲을 지나간다. 지난 17년간 작가의 모든 작품이 변신 형태로 나오는 게 기발하다.
알록달록한 색, 동글동글한 형태는 귀엽고 사랑스러워 아이들이 좋아할 것 같은 책이지만, 정작 이 책은 인문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나에게 온전히 집중하는 것과 우리가 어떻게 삶을 살아내느냐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림책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사실 이 책은 작품에 가깝다. 일반적으로 원화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그림책을 만들지만, 이 작가는 회화의 질감을 살리기 위해 권순관 사진작가에게 부탁해 사진을 찍었고 페이지마다 다른 질감의 종이를 사용했다. 가로로 긴 형태의 그림을 넣기 위해 팝업북 같은 형태도 넣었다. 작가의 요청을 모두 수용해 그림책을 만들 수 있는 곳은 찾기가 어려웠고, 국립현대미술관의 도록을 만드는 업체에서 겨우 해결할 수 있었다.
1년의 세월을 ‘갈아 넣은’ 책답게 문화판에선 반응이 폭발적이다. 서울문화재단이 원화 전시와 북토크를 열었고, 책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에어 바운서 테마파크까지 만들어 인기를 끌었다. 서울 모 지자체에선 원화 전시와 어린이 예술교육, 체험 놀이터와 북토크까지 1년 정도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연극계에선 어린이 뮤지컬 공연으로 만들자 하고,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자는 기획자도 있다. 출판계에선 세계적인 도서전에 출품해 상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300권 한정 제작한 이 책은 판매가보다 제작 비용이 훨씬 더 많이 들어가 작가는 2쇄가 가능할지 확답할 수 없다고 한다.
김효정 기자 teres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