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자의 눈] 버스기사의 친절 운행 언제쯤
시내버스를 자주 이용하는데 여전히 개선돼야 할 사항이 많다.
우선 차내 청결 문제. 창문 외부를 보면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아 그런지 대체로 지저분하다. 좌석에 앉아 바깥 유리창을 조금만 유심히 들여다 보면 먼지와 때가 많이 끼어 승객들에게 불쾌감을 주므로 가끔씩 버스 외부도 청소를 해주길 바란다.
다음으로 버스정류소에 타려는 승객이 있음에도 못 본 척하고 통과하는 경우를 여러 번 보았다. 노선별로 한 번 버스를 놓치면 8~10분 정도 더 기다려야 하는데 그냥 가 버린다면 승객은 시간을 버리게 되고, 급한 약속이라도 있으면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도 따른다.
또 일부 친절한 기사도 있지만 신경질적인 태도로 마치 아랫사람 대하듯 하는 버스기사가 종종 있어 승객 존중이 필요하다. 엄연히 버스요금을 내고 타고 가는 손님에게 퉁명스럽거나 불친절하게 대하면 승객은 솔직히 하루 종일 기분을 망친다. 가령 출퇴근 시간대에는 늘 버스 안이 혼잡한데 이미 승객이 꽉 차 발 디딜 틈도 없는데 무조건 안으로 들어가라고 반말조로 강요하거나, 나이 어린 청소년들에게 훈계하듯이 하는데 서비스업인 버스업계가 이래서는 안 된다고 본다.
그리고 한번은 10분 이내에 오는 버스가 20분이 지나도 오지 않아 너무 지쳐 “배차 시간이 어떠냐?”고 물었더니, 나중에 종점에서 내릴 때 따라와서는 “밀리는 시간에는 자신도 어쩔 수 없는데, 그런 걸 왜 따지냐”고 버스기사가 고성을 질러 당황한 적이 있었다. 오늘은 불가피하게 도로 상황이 나빠 차가 밀렸다고 미안하다고 하면 될 것을 마치 꾸짖고 훈계하듯 말하니 이런 자세로 승객을 대해서야 되겠는가.
준공영제로 운영되는 시내버스는 시민이 낸 세금으로 적자분을 다 보전해 준다. 승객을 늘 접하는 버스기사에 대한 교육과 친절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박옥희·부산 북구 화명신도시로
2025-07-01 [14:28]
-
[독자의눈] 해수부 부산 이전, 꼭 실현돼야
새 정부는 늘 지역균형 발전을 외쳤다. 하지만 오늘날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는 회복 불능상태에 이르렀다. 인구 절반이 수도권에 거주하다보니, 표심으로 먹고 사는 정치권은 선거 때마다 그럴싸한 공약을 내세우지만 선거가 끝나면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 공허한 메아리가 되어 버리고 만다.
이재명 대통령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부산 유권자들은 40% 득표로 화답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첫 국무회의에서 해수부의 빠른 이전을 지시했고 해수부는 이전 추진단을 구성해 추진하겠다고 한다. 내년 6월에 지방선거가 있기에 부산에서의 승리를 위해서는 서두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물론 해수부 직원들이 우려하는 주거나 자녀 교육문제 등은 해수부와 부산시가 적극 검토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해수부는 본부와 산하기관 등을 합쳐 4200여 명 규모다. 더불어 외청으로 1만 3000명 규모의 해양경찰청도 있다.
해수부 이전과 함께 업무와 권한을 더 확대할 필요성도 있다. 해수부가 중심이 돼 북극항로를 개척해야 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담당하는 조선산업 관련 업무를 해수부로 이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조선 관련 산업이야말로 사실상 부산·울산·경남에 집중돼 있지 아니한가. 해수부가 이 업무까지 맡게 되면 업계 지원과 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뤄져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부산시민들은 민주당이 그동안 산업은행 이전에 적극적이지 않았기에 섭섭함과 불만이 많다. 이에 해양수산부 이전 약속은 반드시 실현돼야 할 것이다. 아울러 부산시와 여야 국회의원도 모두 합심해 총력전으로 맞서 시민의 여망에 부응하기 바란다. 우도형·부산 동래구 명륜2동
2025-06-24 [17:31]
-
[독자의 눈] 학교 급식의 업그레이드
학교에서 제공하는 무상급식은 학생들의 건강은 물론 학업 성취도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정책이다. 그러나 학교에서 일부 학생들은 급식을 먹지 않고 식사를 거르는 경우가 많다.
주로 급식의 맛, 소화 문제, 다이어트 등의 이유 때문인데, 이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고 국가 예산이 낭비된다. 손 놓고 있어야 할까.
우선 급식의 맛과 품질을 개선해야 한다. 학생들의 선호도를 반영한 메뉴를 개발하고, 전문 영양사의 지침을 기반으로 맛과 영양을 모두 충족시키는 급식을 제공하면 급식을 외면하는 학생들이 줄어들 것이다. 메뉴를 다양화하고 맛을 개선시키는 것은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핵심 요소다.
또 맞춤형 급식을 도입해야 한다.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이나 알레르기 대체식, 저칼로리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요구에 맞는 식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양한 선택지는 더 많은 학생들이 급식을 찾는 동기가 된다.
더불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급식 참여 여부를 사전에 조사해 적정량의 음식을 준비하고, 남은 음식을 농업용 비료로 재활용하거나 기부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효율적인 자원 활용은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무상급식의 중요성과 혜택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여야 한다. 학생과 학부모를 상대로 급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줄이고, 더 많은 학생이 급식을 선택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무상급식은 학생 복지와 학업 지원의 중요한 기반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무상급식의 낭비를 줄이고, 학생들에게 더 건강한 식사를 제공하는 동시에 국가 예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박기훈· 부산 동래구 낙민동
2025-06-17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