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규제 '풍선효과'… 부산 거래량·가격 상승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2주간 서울 아파트 매매 713건
거래량 79%↓, 가격 상승 주춤
부산은 1097건 거래… 39% 증가
이달 넷째 주 매매 가격도 올라
부산 금련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수영구와 해운대구 일대. 정종회 기자 jjh@
수도권을 규제하는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2주간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급감한 반면 부산은 증가했다. 노후계획도시정비 특별법 시행 등 지역 이슈와 맞물리며 수도권에만 집중됐던 투자 자본이 부산으로 눈을 돌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3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28일까지 13일간 체결된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는 713건으로 나타났다. 직전 13일(3~15일) 거래량은 3447건인데 10·15 대책 발표 직후 거래량이 79.3%나 급감했다.
반면 대책 발표 이후 부산은 매매 거래량이 증가했다. 지난 15일 이후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부산 아파트 매매(16~28일)는 1097건으로 나타났다. 직전 13일(3~15일) 거래량이 788건이었으니 39.2% 상승한 셈이다.
치솟던 서울 집값 상승세도 주춤했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10월 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3% 올랐다.
전주 상승폭이 0.50%였던 점을 감안하면 상승률이 0.27%포인트(P) 축소된 것이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으나 매수 문의 및 거래가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시장 관망 분위기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 15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 또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고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초강력’ 대책을 내놨다. 실거주 의무가 부과되면서 전세를 끼고 내놓은 매물들이 회수되고, 기존 집을 팔아 상급지로 이동하려던 ‘갈아타기’ 수요도 대출 규제로 막힌 영향이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수요 억제 대책이 잇따라 나오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은 당분간 ‘거래 한파’가 이어질 전망이다.
부산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10월 셋째 주 아파트 매매 가격이 보합(0.00%)을 기록했던 부산은 넷째 주에는 0.02% 상승했다. 해운대구(0.13%)와 수영구(0.08%), 동래구(0.07%), 연제구(0.04%), 남구(0.03%) 등의 상승세가 도드라졌다.
해운대구 그린시티 등 조성 30년을 넘긴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공모가 최근 성황리에 마감되면서 일대 부동산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졌다. 시는 지난 20일 선도지구에 참여할 아파트 단지를 공모한 결과 14개 구역 3만 2000호가 신청서를 제출해 선정 물량의 6배에 가까운 세대가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대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이달 초 노후계획도시 특별정비예정구역 선도지구 공모가 시행된 것과 수도권 부동산 규제 정책이 맞물리면서 그린시티 일대에 훈풍이 불고 있다”며 “매물을 내놨던 집주인이 다시 거둬들이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동의대 부동산투자학전공 정쾌호 교수는 “주식 시장과 금값 등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타면서 서울에 집을 마련하려고 했던 투자자나 수요자들이 다급해진 경향이 있다”며 “규제지역이나 대출 규제에 막힌 이들 중 일부가 해운대구나 수영구 등 지역 내 상급지로 눈길을 돌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