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국에 입항수수료 부과하자…해운사들, 부산서 환적후 다른 배로 중국에
지난 14일부터 미·중간 서로 입항수수료 부과
미국선적 컨선, 부산 환적 후 다른배로 닝보항
돌아올때도 부산에서 하역후 다른 배로 미국에
중국이 미국 선박에 대해 입항 수수료를 부과함에 따라 일부 해운사가 한국에서 화물을 환적한 후, 배를 바꿔 중국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과 중국이 서로에게 입항 수수료를 추가로 부과한 가운데, 해운사들이 여파를 줄이기 위해 운항 스케줄을 바꾸고 있다고 17일 보도했다.
중국 측 조치는 미국 기업·단체·개인이 소유·운영하는 선박, 미국 선적 선박, 미국제 선박에 적용된다. 또 미국 측 직간접적 지분이 25% 이상인 기업·조직이 소유·운영하는 선박에도 해당한다.
독일 해운사 하팍로이드의 미국 선적 컨테이너선 ‘포토맥 익스프레스’는 당초 중국 저장성 닝보항으로 갈 예정이었지만 이번 발표 후 부산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후 닝보로 갈 화물은 부산항에서 하역한 후 하팍로이드의 해운동맹인 덴마크 머스크의 운송망을 이용해 최종 목적지로 간다고 머스크 측이 지난 14일 밝혔다.
머스크는 자사의 미국 선적 선박인 ‘머스크 킨로스’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결정해 더 이상 닝보로 직접 가지 않고 한국에 들러 하역 후 자체 운송망을 이용해 닝보로 보내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당초 두 선박을 이용해 닝보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려던 물품들은 다른 배를 이용해 한국에 보낸 뒤 환적하겠다고 밝혔다.
SCMP는 포토맥 익스프레스와 머스크 킨로스 모두 한국에서 만들어진 미국 선적 선박인 만큼, 중국 입항 수수료의 면제 대상이 아닐 것이라고 봤다. 중국은 자국에서 건조된 선박은 수수료 대상에서 제외한 바 있다.
중국측이 지난 14일부터 입항수수료 시행에 들어간 이후 미국 기업 맷슨의 미국 선적 컨테이너선 ‘마누카이’는 이번 중국 측 조치의 첫 적용 대상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누카이는 13일 닝보에 도착한 뒤 14일 화물을 하역했는데, 이 과정에서 수수료 62만 달러(약 9억원)가 부과됐다는 것이다.
이밖에 미·중 양측이 상대국 국민이 소유·운영하는 선박에 대해 수수료를 부과하는 만큼, 이를 피하기 위해 이사회 구성을 바꾸는 기업도 있다고 SCMP는 덧붙였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