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편의 시설로 짓겠다던 동래구 공공지원센터, ‘또 행정 시설?’ 논란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80여억 들인 공공지원센터, 주민 이용 효과 ‘미흡’ 지적
행정과 직간접적 연관된 기관·단체 사무 공간으로 활용 중
“공간 문턱 낮추고 활용도 높여야”… 개방·전환 요구 확산

지난 6월 부산 동래구 명륜동에 문을 연 동래구 공공지원센터. 부산일보DB 지난 6월 부산 동래구 명륜동에 문을 연 동래구 공공지원센터. 부산일보DB

부산 동래구가 지난 6월 문을 연 공공지원센터가 설립 당시 주민 편의를 위한 공공시설을 표방한 것과 달리 행정 편의 위주의 폐쇄적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180여억 원에 달하는 거액의 예산이 투입됐지만, 정작 주민들이 체감하는 개방성과 활용도는 기대에 못 미친다는 것이다. 주민들과 구의회는 센터를 본래 취지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용도를 전환하라며 구청의 운영 방침 변경을 촉구하고 있다.

16일 동래구청에 따르면 현재 공공지원센터에는 동래구 정신건강복지센터, 예비군 지역센터, 동래구새마을회, 동래구체육회·장학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총 9개 단체와 기관이 입주해 있다. 사실상 대부분이 행정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단체와 기관들의 사무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센터는 지하 1층~지상 4층 연면적 1876㎡(약 570평) 규모로 올해 초 이전을 마친 동래구청 신청사 바로 옆에 위치한다. 동래구는 2023년 옛 부산기상청으로 사용됐던 건물과 부지를 약 152억 원에 매입했다. 이후 33억 원을 들여 건물을 전면 리모델링했다.

문제는 주민생활편의 증진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센터 본래 취지와 달리 실제 운영은 행정·사무용 시설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현재 주민들이 활용 가능한 공간은 1층 공유부엌과 2층 다목적강당 정도지만 이마저도 사용은 제한된다. 공간 존재와 자체를 모르는 주민도 적지 않다. 특히 공유부엌은 동래구 여성단체협의회를 통해서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해 이용 접근성이 떨어진다. 현재는 주로 취약계층 지원 자원봉사자들이 음식 나눔을 준비할 때 사용하는 등 한 달에 2~5차례 정도로 사용된다.

이처럼 대부분의 공간이 주민 편의와는 동떨어진 시설로 운영되자, 주민들은 허탈하다는 반응이다. 불만은 센터가 문을 연 지난 6월부터 이어지고 있다.

동래구 한 주민은 동래구의회 홈페이지 민원게시판에 글을 올려 “공사를 기다리며 불편을 감수한 동래구민들은 효용감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며 “외부주차장과 1층에 마련된 공간에 대한 문턱을 낮춰 주민들이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도록 개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동래구의회 A 의원은 “도서관 인프라가 부족한 동래구에 도서관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시설로 활용된다면 더 바람직할 것 같다”고 말했다.

동래구청은 주민 편의 확대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단계적 조율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센터 다목적강당을 주민교육장으로 활용,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주민 만족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동래구 재무과 관계자는 “현재 입주 단체와는 1년 단위로 계약을 맺고 있다”며 “계약 갱신이나 재배치 과정에서 주민 요구를 최대한 반영해, 앞으로는 더 많은 주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탄력적인 운영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