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 눈높이 안 맞는 '갑질 장관' 임명 여론 역풍 맞는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임명 기류
정권 인사 리스크 키우는 결과 가능성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장관 후보자의 거취 문제를 놓고 지난 주말까지 숙고를 거듭하던 이재명 대통령이 내린 결단의 후폭풍이 만만찮다. 이 대통령은 지난주 내도록 고심을 한 끝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임명을 강행하는 쪽으로 지난 주말 입장을 정리했다. 논문 표절 논란과 자녀 불법 유학 문제 등으로 지탄의 대상이 된 이 후보자의 지명 철회에 대해선 수긍하는 반응이 많은 반면 보좌관에 대한 갑질 논란 등으로 자격 시비에 휩싸인 강 후보자를 장관으로 임명하겠다는 결정에는 우려를 표시하는 반응이 적지 않다. 정부 출범 이후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처음으로 꺾인 현상부터가 여론의 역풍으로 비친다.

여권은 이 대통령의 결정은 소관 상임위원회가 두 후보자를 비롯한 장관 후보자들에게 결격 사유가 없었다는 의견을 낸 점을 존중한 결과라며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교육부 장관 후보자 임명 철회를 놓고 야당의 의견을 수용했다며 “지금까지 이런 모습을 보여준 대통령은 없었다”는 평가까지 내놓았다. 반면 야당인 국민의힘이 여성가족부 후보자 임명 강행 기류에 대해 “국민에게 갑질하는 것”이라며 맹비난을 하고 있다. 이대로라면 이 대통령이 강조한 여야 협치는 더욱 바라기 힘들어진 듯하다. 당 내부 문제로 홍역을 앓고 있는 국민의힘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인사 리스크 반사이익을 바라는 듯한 분위기까지 감지된다.

정치권이 이 대통령의 결정을 놓고 ‘제 논 물대기’식 해석을 하는 사이 국민들은 이재명 정부에 각성을 촉구하는 반응을 내놓았다. 지난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62.2%를 기록한 것이다. 정부 출범 이후 줄곧 상승 행진을 해 온 국정 수행 지지율이 전주보다 2.4%P 하락한 사실이 예사롭지 않다. 여기에다 현 정부는 비상계엄을 옹호한 강준욱 교수를 국민통합비서관에 임명하는가 하면 청담동 술자리 가짜뉴스로 재판을 받는 김의겸 전 의원을 차관급인 새만금개발청장으로 임명하는 등 스스로 인사 리스크를 키우는 듯한 모양새다. 정부 인사 검증 시스템 자체에 큰 하자가 있는 것은 아닌지도 우려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동서고금을 관통하는 진리다. 인사는 최고 책임자가 조직을 이끌어 가기 위한 비전과 의지를 조직의 구석구석까지 보여주는 가장 기본적인 장치다. 한 국가를 이끌어가는 최고 책임자는 인사로서 국가를 이끌 비전과 의지를 국민 모두에게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국민 통합이 가능하며 새 정부가 올린 돛에 순풍이 불어주길 기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어렵사리 출범하는 새 정부 앞에 놓인 수많은 난제를 생각한다면 일말의 역풍도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재명 정부의 성공이 곧 국민의 행복이다. 이를 위해선 내각 출범부터 국민 통합을 거스르며 커다란 역풍을 안고 갈 이유가 없어 보인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