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 좀 잘 되려나”…소비쿠폰에 편의점·동네마트 등 매출 증가 기대감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코로나 당시 재난지원금 때도 매출 증가
편의점 업체들 다양한 기획전 준비 나서
연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 사용

오는 21일부터 정부가 전국민을 대상으로 민생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인 가운데, 동네마트와 편의점, 전통시장 등에서는 민생지원금 특수를 기대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편의점. 연합뉴스 오는 21일부터 정부가 전국민을 대상으로 민생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인 가운데, 동네마트와 편의점, 전통시장 등에서는 민생지원금 특수를 기대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편의점. 연합뉴스

오는 21일부터 정부가 전국민을 대상으로 민생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인 가운데, 동네마트와 편의점, 전통시장 등에서는 민생지원금 특수(특별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수요)를 기대하고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은 오는 21일부터 9월 12일까지, 2차 지급은 9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다. 이들 금액은 모두 11월 30일까지는 써야 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에게 돈이 풀리는 것이다.

대표적인 소비쿠폰 사용처인 시장과 동네 마트 등에서는 소비쿠폰이 가뭄에 단비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분위기다.

서울 강남구의 한 시장 근처에서 정육점을 운영하는 이모(34)씨는 13일 “코로나19 때도 가격이 비싼 소고기를 찾는 손님이 늘었었다”며 “이번에도 매출이 어느 정도 늘 것 같아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구소멸지역인 충남 부여에서 마트를 운영하는 김모(65)씨는 “지난번 재난지원금 지원 때 매출이 30%가량 늘어 이번에도 매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며 “인구감소로 지역 경기가 더 좋지 않은데 잠시나마 숨통이 트일 것 같다”고 기대했다.

한국노동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상반기 지출은 코로나19 여파로 11.1% 감소했다. 그러나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로는 지출이 12.4% 증가해 단기적으로나마 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수혜업종으로 꼽히는 편의점 업계도 할인 행사 준비에 한창이다. 본사에서 직영하는 편의점은 소비쿠폰이 적용 안되지만, 대부분 편의점은 자영업자가 운영한다. 이에 증권가에선 소비쿠폰 발행액의 약 5%가 편의점으로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편의점들은 지난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주류, 음료, 신선식품 등의 결제 비중이 높았던 점을 고려해 다양한 기획전을 준비 중이다.

GS25는 실속형 한우, 갈비 세트, 장어 등을 기획상품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가격은 대형마트 수준에 맞춘다는 방침이다.

CU는 빵 라면 커피 등 주요 식품군과 함께 하절기 수요가 높은 주류, 아이스크림 등을 중심으로 1+1 증정 및 할인 행사를 기획했다. 특히 맥주 와인 하이볼 막걸리 등 400종 이상의 주류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할인 행사가 눈에 띈다.

CU 전국 점포 1만 8600여곳 중 99%가 가맹점으로 대부분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만큼 소비쿠폰 이용 안내문도 점포에 부착할 계획이다.

세븐일레븐도 소비쿠폰과 관련해 일상 생활권 소비가 주를 이룰 것으로 보고 생필품 중심의 할인과 추가 이용 혜택을 준비 중이다.

다이소는 매장 1500여개 가운데 30%가량인 가맹점에서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하다. 나머지는 직영점이라서 안된다. 사용 매장이 한정적인 만큼 다이소는 외부 스티커 부착 등을 통해 소비자가 사용 가능 매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소비쿠폰은 연 매출 30억원 이하의 소상공인 매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전통시장, 동네 마트, 식당, 약국, 의원, 학원 등이 사용 가능 업종에 포함되고 일부 프랜차이즈 가맹점도 이용할 수 있다. 반면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배달앱, 유흥·사행성 업종 등의 매장은 사용이 안된다.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사용처에 포함됐던 SSM은 이번에는 제외됐다.

반면 정부는 비수도권 식자재마트를 사용처에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소상공인 단체들이 반발하는 등 사용처와 관련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일각에선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인 2020년 편의점에서 갤럭시워치 등 고가의 전자제품이 판매되며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취지가 희석됐던 상황이 재현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이에 정부는 소비쿠폰의 사용 품목 제한 등을 검토 중이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