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바다 실험실' 구축 위해 부산서 지혜 모은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해수부,20~21일 전문가 연수회 개최
해양분야 디지털 트윈 기술 접목·활용방안 논의
해양자료 활용한 가상공간 구현·활용 차원

해양수산부는 20~21일 이틀간 부산 아바니 센트럴 호텔에서 해양 분야에 디지털 복제(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전문가 연수회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현실 세계의 사물·환경 등의 형태·행동·현상에 관한 실시간 또는 준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공간의 구현과, 이를 기반으로 한 각종 예측, 모의실험, 감시 등에 관한 기술을 일컫는다.

해수부는 합리적인 해양 이용·개발방향을 설정하거나 연안 방재에 관한 정책 수립 및 기술 연구·개발 등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부터 관련 연구개발 사업들을 추진해 왔다. 주요 연구로는 △해양 데이터(지형, 환경, 위치정보 등)로 구현한 디지털 가상공간 구축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어장 분포 변화나 대규모 개발에 따른 해양 환경영향 등을 예측해 해양 공간정책에 반영하는 의사결정 지원도구 개발 △인공지능(AI)·비구조격자 기술을 활용한 신속·정확한 해양환경(해수면 높이, 해류) 변화 예측과 응용 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연구 성과물들은 앞으로 해수부, 지자체, 연구기관이 정책 수립과 기술연구 과정에서 과학적 근거로 활용함으로써 해양 개발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연안 재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해수부, 국립해양조사원, 해양환경공단,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등 연구기관, 산학연 전문가 등 50여 명이 모여 분야별 기술개발 현황을 점검·공유하고 기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사용자 중심의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 방안과 미래 해양공간정책 수립에 필요한 디지털 복제의 역할 등을 주제로 해양공간 디지털 복제의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장묘인 해수부 해양공간정책과장은 “정확한 해양 디지털 복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 확보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해양정보를 생산하는 각 기관 간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연수회를 계기로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제시된 의견은 적극 검토·반영해 기술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