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부산에는 '이재모 피자'가 있다
박종호 스포츠라이프부 선임기자
'가장 줄 많이 서는 집' 선정 이유 뭘까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로 은탑산업훈장
반석나라 장학회·초등 대안학교 운영 등
사람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 피자에 담아
지난 추석 연휴 특집으로 방송된 JTBC 예능 ‘냉장고를 부탁해’는 여러모로 화제가 되었다. 우선 이재명 대통령 부부가 출연했고, 방송 시청률도 8.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실 그보다 지금은 셰프로 더 유명해진 웹툰 작가 김풍 씨의 호방한 입담에 놀랐다. 김 씨가 이날 방송에서 “부산에 가면 유명한 피자집인 ‘이재모 피자’가 있다”며 “‘이재명 피자’를 만들겠다고 선언해 버린 것이다. 현직 대통령 이름을 딴 피자를 만들어도 되는지, 특정 브랜드 피자를 그렇게 대놓고 선전해도 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본의 아니게 이재모 피자는 더 유명해지고 말았다.
이재모 피자를 맛보려면 줄 설 각오를 단단히 해야 한다. 온라인 식당 예약 플랫폼 ‘캐치테이블’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에서 가장 웨이팅이 많았던 식당 1~4위는 이재모 피자 본점, 부산역점, 서면 본관, 별관 순이었다. 점심이나 저녁 시간에 피자를 먹으려면 매장 밖에서 기본 1시간 이상 줄을 서야 한다. 지난 8월 16일에는 본점 웨이팅 줄이 600번대까지 늘어서 5시간 이상을 대기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부산역점에는 몇 년 전부터 캐리어를 끌고 온 손님들이 몰려들기 시작해, 이제는 부산역을 출발하는 승객들이 이재모 피자가 든 빨간색 박스를 들고 있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대전에 성심당이 있다면 부산에는 이재모 피자가 있다’라는 말도 어느새 당연한 이야기가 되어가고 있다. 명색이 맛집 담당 기자이지만 줄 서는 걸 싫어하는 천성 때문에 여태 구경도 못 하다 얼마 전에 제주도에 가서 이재모 피자를 어렵게 구해 먹어본 일이 있었다.
분명히 재료도 훌륭하고 맛도 좋았지만 그래 봤자 피자 아닌가. 음식 전문가들은 이재모 피자의 인기 이유를 ‘희소성’과 ‘가성비’로 풀이한다. 이재모 피자는 제주를 제외하면 육지에서는 부산에서만 먹을 수 있고, 충실한 재료와 합리적인 가격 때문에 인기라는 것이다. 뭔가 다른 비결이 있을 거라고 짐작하고 검색하다 이상한 점 하나를 발견했다. 이재모 피자는 그동안 툭하면 기부를 해 온 것이다. 부산에 있는 점포들은 말할 것도 없고 지난해 개점한 제주점마저 취약계층 의료비와 생계비로 벌써 2000만 원을 해당 지역에 기탁했다.
게다가 남들 모르게 훈장을 받는 일까지 있었다. 지난 9월 청년과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로 은탑산업훈장을 받은 에프지케이 김익태 대표가 이재모 피자의 대표다. 알고 보니 이재모는 김 대표 어머니 이름이었다. 더 찾아보니 2023년 부산역점 개점에 필요한 인력 채용 행사 때도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애초에는 취약계층 대상으로 6명을 뽑을 예정이었지만, 면접을 본 15명 전원이 채용됐다. 이들이 삶에 대한 희망을 품는 데 무엇보다 일자리가 도움이 될 것이라는 김 대표의 생각 때문이었다.
김 대표는 반석나라 장학회 이사장과 대안학교 반디기독초등학교 이사장도 맡고 있었다. 점점 흥미가 생겨 파고들다 보니 반석나라 장학회는 단발적인 학비 지원에서 멈추지 않는다는 게 다른 곳과 차이점이었다. 장학생으로 선발된 이후에는 전문 교육을 이수한 멘토와 연결되어 학업·진로 등 삶의 전반을 함께 점검하고 설계할 기회가 제공된다.
성적이나 배경과 무관하게 뚜렷한 자기 인식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는 ‘비전장학금’ 제도도 신선했다. 초등 과정 대안학교인 반디기독초등학교는 좋은 교육이 인생을 바꿀 수 있다는 생각으로 설립했다.
파도 파도 미담이 나온다는 말은 이럴 때 쓰는 것 같다. 김 대표는 2012년부터 사비를 털어 동주여고 학생을 대상으로 유명 강사 초청 강연회인 동주비전스쿨을 일 년에 수차례 열고 있다. 덕분에 그동안 가수 션, 나태주 시인, 송길영, 고도원 씨 등 수많은 유명 인사가 동주여고를 다녀갔다. “소수의 학생에게 장학금을 주는 것보다 보다 많은 학생이 훌륭한 사람으로부터 좋은 말을 듣는 게 더 중요할 것 같아 동주비전스쿨을 열게 됐다”라는 이야기가 전해졌다.
반석나라 장학회 홈페이지에는 지금도 장학회 이사장의 사진 한 장 걸려 있지 않다. 김 대표는 이사장 인사말에서 “바른 인성과 분명한 비전을 가진 청년들이 미래 사회의 반석이 되도록 돕는 것, 그리고 그들이 다시 누군가의 반석이 되어주는 선순환의 길을 만드는 것. 바로 이것이 반석나라 장학회가 추구하는 가치”라며 “저는 ‘이재모 피자’라는 이름보다 다음 세대를 든든히 세우는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원한다”라고 적었다.
김 대표는 2014년 〈부산일보〉와의 인터뷰를 처음이자 끝으로 언론과의 접촉은 일절 하지 않고 있지만 조금도 섭섭하지 않다. 이재모 피자에는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이 들었다. 줄 서서 기다리기는 싫어도, 앞으로 피자는 이재모 피자만 먹을 생각이다.
박종호 기자 nleader@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