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 중소기업 해킹 피해 무방비 노출돼 대책 시급하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악성코드로 전산 마비 랜섬웨어 급증
특화 솔루션·맞춤형 컨설팅 지원 시급

서울 시내 한 휴대폰 판매점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휴대폰 판매점의 모습. 연합뉴스

최근 국가기관은 물론 대기업에 대한 사이버 해킹 공격이 이어지면서 엄청난 사회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부산 지역 중소기업들도 해킹 때문에 업무 마비 등의 피해를 겪고 있다. 대기업에 이어 보안이 취약한 중소기업들까지 해커들의 먹잇감이 되면서 지역 경제에 비상이 걸렸다. 중소기업은 지역과 국가 경제의 실핏줄이다. 원청 기업을 중심으로 관련 업체들과 촘촘하게 연결된 중소기업 전산망은 한곳이 뚫리면 엄청난 연쇄 피해를 유발한다. 강소기업 기술 유출로 인한 국가 경쟁력 저하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인력과 재원 부족으로 해킹에 무방비로 노출된 중소기업의 디지털 리스크 해소를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역 중소기업들에게 가해지는 해킹 공격은 주로 랜섬웨어 방식이다. 〈부산일보〉 보도에 따르면 교묘하게 위장된 이메일을 보내 중소기업에 악성코드를 심은 뒤 금품을 요구한다고 한다. 부산의 한 중소기업은 ‘납품 제안 확인 부탁합니다’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열었다가 회사 전체 전산망이 마비됐다. 해커는 해킹 공격을 멈추는 조건으로 1000만 원이 넘는 가상화폐를 요구했다. 중소기업 전산망을 인질로 잡는 악질적인 수법이다. 해킹을 막을 내부 인력이 없는 데다 촉박한 납품 기일에 쫓기던 이 업체는 결국 해커의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더 큰 문제는 이런 피해를 본 중소기업들이 최근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접수된 랜섬웨어 피해 신고 건수는 2021년 640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2022년 1142건, 2023년 1277건으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1887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도 1~8월 신고 건수만 이미 1501건에 달한다. 이런 수치는 해커들이 보안이 허술한 중소기업을 손쉬운 돈벌이 목표로 삼았다는 방증이다. 주로 자동차, 조선 등 대기업 협력 업체가 많은 부산의 경우 중소기업들은 촘촘한 전산 공급망으로 묶여 있는 경우가 많다. 다른 업체에 도미노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해커의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적극적인 중소기업 해킹 방지 지원이 필요하다.

부산의 중소기업 대다수는 제조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제조업은 현재 중국의 저가 공세와 미국 상호관세 상승으로 인한 철강 등 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해킹 공격을 막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더욱이 해커들의 수법이 갈수록 첨단화되면서 SK텔레콤, KT, 롯데카드 등 대기업마저도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특히 대다수 중소기업은 이 문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를 몰라 갈팡질팡하고 있다. 해당 업체들이 알아서 할 일이라고 방관해서는 안 된다. 지역 산업의 근간인 중소기업이 살아야 국가 경제도 활성화된다. 중소기업에 특화된 솔루션과 맞춤형 컨설팅 지원을 서둘러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