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진흥원 폐교 대학 부지에” 경남도의회 제안
경남도가 우주항공청 산하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유치를 시사한 가운데 경남도의회에서 진주시의 폐교 건물을 활용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11일 경남도 등에 따르면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지난 8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유치와 관련 입법 추진을 도정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우주항공청은 지난해 5월 경남 사천시 사남면에 임시 청사 형태로 운영에 들어갔다.
그러나 우주항공청이 제 역할을 다할지는 미지수다. 현재 우주항공청 산하 연구 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이 연구개발(R&D)과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있지만, 정작 이를 실행에 옮길 기관이 없다. 우주항공청이 산업 거점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산업 육성과 생태계 조성을 전담할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이 설립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우주항공청이 우리 지역에 위치한 국가기관인 만큼, 경남도가 관련 계획과 제도 마련 과정에서 자체 입장을 명확히 하고 실효성 있는 산업 육성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남도의회에서는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을 지난 2023년 폐교한 한국국제대 부지에 유치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방안까지 제시되고 있다. 신규 건축이 아닌 공유재산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기재부나 국토부 등 관계 부처 설득이 쉽고, 부지 매입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우주항공청과도 30분이면 오갈 수 있는데다 지역의 흉물로 방치된 한국국제대를 성공적으로 재활용함으로써 대학 폐교 부지 활용의 모범 사례를 남길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지난 12년간 방치된 옛 제주 탐라대 폐교 부지가 다음 달 ‘한화 우주센터’로 탈바꿈한다.
경남도의회 국민의힘 조현신(진주3) 의원은 “제주도는 탐라대 폐교 부지를 ‘하원 테크노 캠퍼스 산업단지’로 조성해 우주센터, 천문과학관, 전파천문대 등을 모았다”라며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이 한국국제대에 설립되면 경남은 정책과 산업 지원, 제조가 유기적으로 어우러지는 항공우주산업 종합 거점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