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진해신항을 북극항로 거점으로”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2일 세미나 열어 대응 전략 논의
친환경 조선·에너지 등 강점 연계



경남도가 12일 경남연구원 가야대회의실에서 개최한 ‘북극항로 개발에 맞춰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세미나’.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12일 경남연구원 가야대회의실에서 개최한 ‘북극항로 개발에 맞춰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세미나’. 경남도 제공


“진해신항을 북극항로 진출 거점으로 육성해야 합니다.”

경남도는 12일 경남연구원 가야대회의실에서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북극항로 개발에 맞춰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기후변화로 북극 해빙(海氷) 면적이 축소되면서 새롭게 열리는 북극항로를 이용하면 현재 수에즈운하를 이용하는 유럽∼아시아 간 운송 거리·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제 발표에 나선 김기태 영산대학교 북극물류연구소 교수는 북극해 연안 53%가 러시아에 속한 점을 거론하며 북극항로 개척 과제, 경남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러시아의 북극 자원개발 진척 상황, 항만·터미널 등 러시아 정부의 북극 수송인프라 개발 상황, 쇄빙 비용·운항 가능 기간에 따른 경제성 문제, 그 외 우크라이나 전쟁 후 유럽연합의 러시아 제재 등 법적인 문제가 북극항로 개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했다.

김 교수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이후를 대비해 한·러 협력관계를 복원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빙선박 건조 지원, 거점항만 육성 등 우리나라 정부가 북극항로 개척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어 정부가 2040년까지 순차적으로 건설하는 21선석 규모 진해신항을 포함한 부산항 신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키워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그는 또 경남도가 북극항로 진출 거점이 되려면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경남 조선업체가 극지 특화 선박 건조 역량을 갖추면서 북극항로에 특화한 선박기자재 공급, 수리조선이 가능한 조선·해양산업 클러스터 조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날 종합토론에서는 △북극항로 대응을 위한 진해신항 중심의 전략 항만 육성 △인프라 확충 △물류산업 클러스터 강화 △정부 정책과 연계 방안 등이 논의됐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경남도·창원시·부신진해경제자유구역청 공무원, 해운업계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