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완전체 해수부 부산 이전에 지역 역량 총결집해야
해양 업무 총괄 해수부 될 수 있도록
민·관 모두 부산행 비전 수립 총력을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서 시작해 새 정부 출범 이후 가장 큰 지역현안으로 떠오른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 부산 이전이 ‘해양수도 부산’의 방향성을 선도하는 구체적인 그림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연내 이전 강행이라는 대통령의 의지와 이전 당사자인 해수부의 기민한 움직임이 주를 이루던 해수부 부산 이전은 부산지역 민·관이 그에 걸맞은 행동에 나섬으로써 달리는 말에 채찍을 가하는 모양새가 됐다. 막연히 정부 부처 하나를 부산으로 옮겨오는 것처럼 비춰졌던 해수부 부산 이전은 부산지역 민과 관이 각자의 영역에서 함께 역할을 떠맡으면서 해수부의 역할과 부산의 비전을 각각 씨줄과 날줄로 엮어 더 완전한 해수부를 만드는 계기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먼저 움직인 쪽은 부산지역 민간단체들이다. 지방분권균형발전부산시민연대와 신해양강국국민운동본부 등 시민단체들은 7일 모임을 갖고 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를 발족했다. 시민단체뿐만 아니라 법조계와 해양수산업계까지 참여한 이 협의회는 해수부를 비롯해 HMM 본사 등의 부산 이전을 위한 본격 활동을 예고했다. 발족 당일 열린 토론회에서 이들 단체는 제일성으로 해수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해양 관련 기관 부산 집적화를 반드시 이뤄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또 해수부 이전과 함께 조선·해양플랜트와 해양관광·레저를 비롯한 해양 연관 산업 관할권도 해수부로 통합해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간단체들의 이 같은 행동 이튿날인 8일 부산시는 국정기획위원회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와 간담회를 열고 이재명 정부의 부산 공약 주요 과제를 건의했다. 부산시는 해수부와 해양 공공기관 부산 통합 이전을 첫머리에 내세움으로써 전날 민간단체들이 강조한 내용들의 국정과제 반영에 공을 들였다. 이와 함께 해사전문법원 부산 설립과 해운 물류 대기업 본사 부산 이전, 북극항로 선도 도시 조성 등 해양강국 한국의 토대가 될 해양수도 부산의 방향성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그동안 해수부 부산 이전 문제를 둘러싸고 부산지역 정치권 일각에서 벌어진 정쟁의 그림자를 걷어내는 계기가 되기에 충분했다는 평가다.
민·관이 각자의 영역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과 해양수도 부산의 방향성을 설정한 덕인지 해양수산 기업의 부산행이라는 반가운 소식도 들린다. 지난달 아기유니콘으로 선정된 신생 기업이지만 서울에 본사를 둔 수산기업인 ‘에이디수산’이 이례적으로 본사를 부산으로 옮겼다는 소식이다.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위해 팔을 걷고 나선 부산지역 민·관의 행보는 이제 첫발을 뗀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 행보가 거대한 물결이 돼 해수부가 모든 해양 관련 업무를 틀어쥔 완전체로 부산에 오는 길을 열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럴 때라야만 해양수산 기업들의 부산행도 지금보다 더 자주 더 큰 규모로 이뤄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