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대수명, OECD 평균보다 길지만… 자살률은 가장 높아
의료 수준 높아 회피사망률 낮아
2023년 한국 기대 수명 83.5년
자살률 2003년 이후 줄곧 1위
과체중·비만 비율 두 번째로 낮아
우리나라 사람의 기대수명이 83.5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2년 이상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살률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30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ECD 국가 평균(81.1년)보다 2.4년 길었다. 기대수명이란 그해 출생아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햇수를 뜻한다.
질병을 예방하고 제때 치료하면 사망을 막을 수 있었던 사례를 뜻하는 회피가능사망률은 OECD 평균보다 낮았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회피가능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51.0명이었다. OECD 평균(228.6명)을 크게 밑돌았다. 회피가능사망률이 낮으면 그만큼 의료의 질이 높다는 의미다. 국내 인구 10만 명당 회피가능사망률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3.1% 감소했다.
높은 의료 수준 덕분에 기대수명은 늘어났지만 자살로 인한 사망률은 OECD 국가 중 1위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3.2명으로, OECD 평균(10.7명)의 배를 넘었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2003년 이후 OECD 국가 중 줄곧 1위다. 다만, 우리나라 자살률은 빠른 속도로 감소 중이다. 2012년 30.3명이었지만 2022년엔 23.2명으로 23.4% 줄었다. 같은 기간 OECD 평균은 12.8명에서 10.7명으로 16.4% 감소했다.
2023년 우리나라의 GDP 대비 경상 의료비는 8.5%로, OECD 평균(9.1%)보다 작았다. 경상 의료비는 보건의료 부문 서비스·재화에 쓴 국민 전체의 1년간 지출 총액이다.
하지만 국민 1인당 경상 의료비는 지난 10년간 연평균 7.8%씩 늘어 OECD 평균 증가율(5.2%)을 웃돌았다. 2023년 국민 1인당 경상 의료비는 구매력평가(PPP) 기준 4586달러(약 634만 6600원)다. 이런 증가세는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흡연 인구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다소 높았다. 2023년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흡연하는 사람의 비율은 OECD 평균(13.2%)보다 높은 15.3%였다.
1인당 주류 소비량은 OECD 평균보다 작었다. 순수 알코올을 기준으로 측정한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 소비량은 2023년에 연간 7.8L로 나타났다. OECD 평균(8.6L)보다 작은 수치다. 흡연율과 마찬가지로 주류 소비량도 최근 10년 새 계속 줄었다.
과체중·비만 인구 비율은 낮았지만, 점차 늘고 있다. 2023년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중 과체중·비만(체질량지수 25 이상) 비율은 36.5%로, 일본(26.0%)에 이어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낮았다. 우리나라의 과체중·비만 인구 비율은 2013년 31.5%로 10년 새 5%P(포인트) 늘었다.
2023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유급 장기요양서비스를 집에서 받는 비율은 9.0%였다. 이는 OECD 평균(11.2%)보다 낮은 값이다. 시설에서의 장기요양서비스 수급 비율도 우리나라는 2.7%로, OECD 평균(3.5%)보다 낮았다.
같은 해 우리나라 공식 장기요양 돌봄종사자 수는 65세 이상 인구 100명당 5.3명으로, OECD 평균(5.5명)보다 0.2명 적었다. 국내 65세 이상 인구 1000명당 요양병원 병상과 장기요양시설 침상 수의 합은 2023년 현재 53.8개였다. 병상 합계는 10년 전인 2013년(55.2개)보다 줄었다.
김동우 기자 friend@busan.com